이탈리아 뒷골목에서 시작된 돈의 모험

이탈리아 뒷골목에서 시작된 돈의 모험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06-12 23:52
수정 2015-06-13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돈의 발명/알렉산드로 마르초 마뇨 지음/김희정 옮김/책세상/444쪽/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중세시대 유럽을 구성했던 사람들은 크게 세 부류였다. 기도로 악마와 싸우는 성직자, 칼 들고 교회의 적과 싸우는 귀족, 그리고 ‘나머지’는 백성들이었다. 백성들은 찬송가를 부르거나 칼 휘두르느라 여념이 없는 자들을 부양할 의무를 졌다. 곡식을 수확하면 일정한 양을 주인에게 바친 뒤, 나머지는 봄에 파종할 씨와 자신들의 식량으로 사용했다. 이처럼 자급자족이 가능했으니 돈도 필요하지 않았다.

그런데 상인과 수공업자들이 등장하면서 변화가 시작됐다. 이들은 기도하지도, 싸우지도, 밭을 일구지도 않았다. 하지만 제아무리 귀한 베네치아 모직을 만들어 내는 수공업자라도 일용할 양식은 구해야 할 것 아닌가. 그제야 로마인들이 사용했다가 기억에서 사라진 물건, 모네타(돈)가 필요해지기 시작했다. 새 책 ‘돈의 발명’은 이처럼 돈으로 상징되는 금융의 뿌리를 추적한다. 베네치아에서 만들어진 금화가 전 유럽에서 통용되고, 아프리카의 상인이 제노바 사투리를 쏟아내던 때의 이탈리아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가 주목한 공간은 14~16세기 이탈리아다. 현대적인 금융의 중심지 하면 미국 뉴욕을 꼽지만, 사실 금융의 뿌리는 중세 이탈리아의 광장과 좁은 골목에 있었다. 화폐와 은행, 보험과 증권, 담보와 이자, 교환과 복식부기, 저축과 투자, 수표와 채권 등 금융과 신용 거래의 모든 장치들이 이탈리아 도시국가를 중심으로 탄생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당대 문인들의 작품에서부터 역사가들이 기록한 연대기, 문서 보관소의 자료, 대를 이어 전해진 상인들의 회계장부, 재판소에 보관된 범죄 기록에 이르기까지, 이탈리아 곳곳에서 수집한 방대한 사료를 활용해 초기 금융의 역사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놓는다. 그야말로 이탈리아 뒷골목에서 펼쳐지는 파란만장한 돈의 모험 이야기다.

화폐가 만들어지고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상인들은 점차 은행가로 변모했다. 초기 은행의 모체도 이때 등장했다. 당시 교황청은 모든 기독교 국가에서 화폐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세금을 거둬들였다. 이 물건들을 감정하고 거래하던 환전상이 돈자루를 올려 둔 탁자, 즉 ‘방코’(banco)가 오늘날 ‘은행’을 뜻하는 이탈리아어 ‘방카’(banca)의 유래가 됐다. 번성했던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을 무대로 다국적기업과 보험회사 등도 처음 만들어졌다. 덩달아 ‘돈과 돈이 합방해 나은 끔찍한 자식’ 이자와 주가 조작 같은 메커니즘도 작동하기 시작했다니 돈을 좇는 인간의 욕망의 역사 또한 뿌리가 꽤 깊은 셈이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6-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