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자수성가/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문화마당] 자수성가/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4-12-31 17:14
업데이트 2015-01-01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계승범 서강대 사학과 교수
온 가족이 연말에 함께 모이면 갖가지 대화로 방안의 온도가 올라간다. 어느 대학에 가니? 언제 결혼하니? 민망한 심문(?)이 난무한다. 어떤 주제는 세대별로 생각이 달라 언짢은 논쟁으로 비화하기도 한다. 어르신들의 ‘자수성가’ 훈시는 그 좋은 예다.

자수성가(自手成家)란 말 그대로 부모의 도움 없이 자기 손으로 스스로 일어나 집안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따라서 자수성가한 사람이라면 세인들의 박수를 받을 만하고, 청년들의 귀감이 될 자격도 있다. 그런데 자수성가를 이룬 기간에 그 사회가 어떤 환경에 처해 있었는지도 함께 살펴야 한다. 한 개인의 성공에는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이 뒤섞이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는 1960년대부터 30여년에 걸쳐 세계가 놀랄 만한 급격한 산업화를 이루었는데, 자수성가했다는 한국인은 대개 바로 이 시기에 집안을 일으켰다. 따라서 그 대부분은 지금 65세를 넘긴 노인층이다. 바로 이런 사회 환경과 타이밍에 한국형 자수성가의 어두운 그늘이 숨어 있다.

산업화 시기에 한국은 거의 매년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국가의 전체 파이가 계속 커졌다. 그렇다 보니 여기저기에 많은 일자리가 우후죽순처럼 발생했다. 학력이 높건 낮건 눈높이만 현실에 맞추면 일자리는 도처에 있었다. 급격한 이농현상과 도시화도 이때 본격적으로 발생했고, 농업국가라는 옷도 이때 벗어 버렸다.

이런 시대적 특징을 개인 차원에서 볼 때 본인이 게으르지만 않으면 살림이 나아지던 시절이었다. 집을 떠나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쉬웠고, 시간이 지나면서 집안도 일으킬 수 있었다. 처음에는 식구(食口)를 덜어 주는 기여를 하다가 얼마 안 지나 식구들을 거두어 먹였던 것이다. 대기업 회사원이나, 공무원이나, 기술자나, 상인이나 특별히 게으름만 피우지 않으면 생활 수준이 나아지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런 사회 환경을 고려하면 한국형 자수성가라는 것이 반드시 개인의 능력이나 성실성을 입증해 주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청년들의 취업난과 비교해 보면 오히려 저들은 때를 잘 타고 태어난 혜택받은 세대라 할 수 있다. 개인의 성실함보다는 사회 환경의 덕을 더 많이 본 사람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본인이 게으르지 않아야 그런 덕도 볼 수 있었을 테니 존중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형 자수성가에는 한 가지 전제조건이 더 붙는다. 바로 불의(不義)에 침묵해야 했다는 것이다. 불법을 보고도 침묵해야 했으며, 심지어 그런 행위를 일삼는 조직의 일원으로 남아야 했다. 크게는 국가 차원의 불법비리부터 작게는 자기가 일하는 부서에서 관행으로 행하는 비리에 이르기까지 직접 가담하거나 적어도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침묵해야 자수성가를 이룰 수 있었다.

요즘 한국 사회에서 자수성가했다고 자찬하는 산업화 세대 분들은 게으르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대개 충족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불의에 침묵해야 한다는 조건을 따르지 않고도 현재의 위치에 오른 이가 얼마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요인들은 싹 무시한 채 무조건 자기가 잘나서 자수성가했다고 도취된 사람들이다. 이런 어른이 집안에 한 분 계시면 그 가족 모임은 피폐해지기 십상이다. 그래도 가족 내에서 그런다면 그것은 가족으로 끝난다. 정말 큰 문제는 그런 사람들이 한 나라의 키를 독점할 때 발생한다. 그래서 을미년이 좀 을씨년스럽다.
2015-01-0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