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서 김치축제… 세계에 한국 알렸죠”

“덴마크서 김치축제… 세계에 한국 알렸죠”

입력 2014-12-25 00:26
수정 2014-12-25 04: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 공공외교’ 발표 최하영씨

최하영씨
최하영씨
서울여대 경영학과를 다니던 최하영(23·여)씨는 2012년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받아 덴마크를 방문했다. 그녀가 아르바이트를 하던 초밥집은 김치가 반찬으로 나왔다. 덴마크인들은 대부분 김치를 맛있게 먹으면서도 그것이 한국 음식인지 모르고 있었다.

덴마크에 진출한 삼성과 현대, LG 같은 한국 기업을 일본 기업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한국을 동남아의 작은 나라라고 생각해 “너희 고국에는 눈이 내리느냐”고 묻는 사람도 있었다.

최씨는 한국을 알리겠다는 생각에 지난해 7월 한국에서 입양된 덴마크인 등 지인 2명과 함께 코펜하겐에서 ‘제1회 코펜하겐 김치축제’를 개최하기로 마음먹었다. 10군데가 넘는 기업에 후원을 부탁했지만 모두 거절했다. 개최 장소나 자원봉사자 섭외 역시 만만치 않았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친 뒤 지난 6월 개최한 ‘2회 코펜하겐 김치축제’는 성공적이었다.

1회에 비해 2회 행사가 성공적일 수 있었던 요인은 외교부가 마련한 ‘국민참여형 공공외교’ 공모전에 당선돼 2700만원을 지원받은 덕이 컸다.

최근 외교부에서 열린 ‘2014 국민참여형 공공외교 사업결과 발표회’에 참석한 최씨는 24일 “외교관뿐 아니라 일반인도 얼마든지 한국을 세계에 알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 기쁘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4-12-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