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18~20일 ‘젯 페스트’
인구 60만의 제주도는 ‘문화의 변방’이다. 좋아하는 가수의 공연을 보려면 티켓값보다 더 비싼 항공료를 지불하고 뭍으로 가야 한다. 하지만 그 ‘육지’에서는 불가능한 음악적 실험이 제주도에서 이어져 오고 있다. 인디밴드들의 재능기부로 운영되는 무료 록페스티벌이 10년째 이어지고, 제주도 사투리로 노래하는 록 밴드가 유명해지고 있다. 이번에는 최초로 2박 3일간의 록 페스티벌이 열린다. 이름은 ‘젯 페스트’(Jet Fest·Jeju Experience Tour & Festival). 해외 아티스트는 없지만 국내 아티스트와 제주의 음악인, 생태여행과 문화체험이 있는 페스티벌이다.
▲ 공연과 생태여행, 강연 등을 결합해 지난해 7차례에 걸쳐 열린 ‘겟인제주’ 공연 모습.
㈜제주바람 제공
이들은 록 페스티벌에 앞서 가능성을 시험했다. 아티스트들의 공연과 2박 3일간 생태여행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겟인제주’를 진행한 것. 지난해 5월부터 총 7회에 걸쳐 외지인 160여명과 현지인 1500여명이 참여했다. 여행과 공연을 함께 즐기며 아티스트와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젯 페스트는 기존 록 페스티벌의 모든 틀을 깨뜨린다. 우선 소셜 펀딩을 통해 후원금을 모으고 후원자들로부터 출연진과 프로그램을 추천받았다. 주최 측과 관객이 함께 페스티벌을 만들어 나간다는 취지다. 또 낮에는 생태여행과 문화체험, 강연 등을 진행하고 밤에는 공연을 즐기는 복합형 페스티벌로 기획됐다. 오직 제주에서만 가능한 페스티벌이자 관객들의 능동적 문화 경험을 만들겠다는 포부다.
돈 되는 록 페스티벌에 대기업의 자본이 몰려들어도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는 ‘무모한 도전’일지 모른다. 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박 평론가는 자신했다. “록 페스티벌에 수십 억원의 자본이 투여돼도 관객의 만족도가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젯 페스트는 제주에 지속 가능한 공연 문화의 토양을 다지고, 록 페스티벌 시장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겁니다.” 10월 18~20일 제주시청소년야영장 및 제주도 전역. (070)4122-2534.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