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경제, 中보다 글로벌경제에 민감

우리경제, 中보다 글로벌경제에 민감

입력 2012-05-14 00:00
수정 2012-05-14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KDI 분석 발표를 보면

중국 경제가 경착륙(경기의 급격한 하강)하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오히려 중국 경제보다 세계 경제가 우리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들어 우리 경제와 중국 경제의 동조화가 심해진 데다 중국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중국 경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지 확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3일 발표한 ‘중국 내부 요인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따르면 중국이 세계 경제 여건 변화와 무관하게 내부적 요인으로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상승하면 그 이후 1년간 우리 경제의 성장률 상승효과는 0.01% 포인트에 불과하다. 반면 세계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상승하면 그 이후 1년간 우리 경제는 0.65% 포인트 상승한다. 우리 경제뿐만 아니라 중국 경제도 세계 경제의 종속변수라는 의미다. 세계 경제는 우리나라와 중국을 제외한 상위 24개국의 국내총생산(GDP)을 합산한 수치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다.

우리 경제가 중국보다 세계 경제에 민감한 까닭은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구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중 중국 내수를 위한 일반 무역은 30%대지만 중국의 수출을 위한 가공무역·보세가공은 70%에 육박한다. 대중국 수출 중 일반 무역 비중이 높은 다른 선진국들도 전체 수출 중 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아 중국 경제의 위축이 무역경로를 통해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낮다.

문제는 앞으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이후 지급준비율을 0.5% 포인트씩 세번이나 인하하는 등 시중 유동성 공급을 통한 내수 회복에 주력하고 있다. 이한규 KDI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가 내수 확대 등 성장전략의 전환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설정해 앞으로 중국 경제에서 내수의 역할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경우 중국의 내부 요인에 따른 경기 변화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지금보다 커지게 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중국과 우리 경제 성장률의 상관계수는 2006년 1분기부터 2008년 3분기까지는 0.51였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년 4분기부터 2012년 1분기까지는 0.95로 상승했다.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상관성이 높다는 의미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양국 간 동조화 현상이 심화된 만큼 중국 경제 둔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위축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최근 5개월째 전월 대비 하락세다. 중국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5%로 미국·유럽연합(20%)보다 높다.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경우 부(富)의 효과에 따른 소비 위축은 물론 투자까지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5-14 1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