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분석 발표를 보면
중국 경제가 경착륙(경기의 급격한 하강)하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오히려 중국 경제보다 세계 경제가 우리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들어 우리 경제와 중국 경제의 동조화가 심해진 데다 중국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중국 경제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력이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우리 경제가 중국보다 세계 경제에 민감한 까닭은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구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중 중국 내수를 위한 일반 무역은 30%대지만 중국의 수출을 위한 가공무역·보세가공은 70%에 육박한다. 대중국 수출 중 일반 무역 비중이 높은 다른 선진국들도 전체 수출 중 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아 중국 경제의 위축이 무역경로를 통해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낮다.
문제는 앞으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이후 지급준비율을 0.5% 포인트씩 세번이나 인하하는 등 시중 유동성 공급을 통한 내수 회복에 주력하고 있다. 이한규 KDI 연구위원은 “중국 정부가 내수 확대 등 성장전략의 전환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설정해 앞으로 중국 경제에서 내수의 역할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경우 중국의 내부 요인에 따른 경기 변화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지금보다 커지게 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중국과 우리 경제 성장률의 상관계수는 2006년 1분기부터 2008년 3분기까지는 0.51였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년 4분기부터 2012년 1분기까지는 0.95로 상승했다. 상관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상관성이 높다는 의미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양국 간 동조화 현상이 심화된 만큼 중국 경제 둔화가 우리 경제에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위축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최근 5개월째 전월 대비 하락세다. 중국 가계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5%로 미국·유럽연합(20%)보다 높다.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경우 부(富)의 효과에 따른 소비 위축은 물론 투자까지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5-14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