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과일·버섯농가 뭉친 ‘그리너리’ 60개국에 200가지 품목 수출 견인

채소·과일·버섯농가 뭉친 ‘그리너리’ 60개국에 200가지 품목 수출 견인

입력 2012-03-28 00:00
수정 2012-03-28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네덜란드 선진 사례

국토 면적이 우리나라의 절반 수준이지만 농업강국으로 손꼽히는 네덜란드. 그 원천은 협동조합이다. 채소·과일·버섯 농가들의 협동조합인 그리너리와 화훼 농가들의 협동조합인 플로라홀란트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리너리는 1903년 청과 농가들의 경매장 형태로 출발했다. 1990년대 유통업체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맞서 규모를 키웠고, 1996년 9개 청과 경매농협이 합병한 뒤 자회사를 만들어 농산물 판매를 전문화했다. 이에 따라 유통과정이 5~8단계에서 2~3단계로 줄어들었고 전세계 60여개 나라에 200여 가지 품목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그리너리의 매출은 18억 유로(2조 7295억원)다.

그리너리는 소비자의 수요와 현지의 생산계획을 연결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조합원들이 주간·월간·연간 생산 예정량을 그리너리에 통보하고 그리너리는 고객의 주문정보, 시장동향 등을 제공한다. 자국에서 재배되지 않거나 제철이 아닌 농산물도 수입하는 등 연중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판매전문조직, 소비자 중심의 상품 생산, 정보기술(IT)을 이용한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 등이 그리너리의 성공요인으로 꼽힌다.

플로라홀란트는 세계 최대 화훼 협동조합으로 5200여 화훼농가가 조합원이다. 1912년 출발해 몇 차례 합병을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 연면적 125만㎡로 코엑스몰의 10배에 이르는 알스메이르 경매장을 포함, 6개의 경매장을 갖고 있다. 관광명소이기도 한 알스메이르 경매장에서는 하루에만 4000만 송이가 경매된다. 바로 다음 날 다른 나라에서 판매되는 시스템도 갖췄다. 지난해 매출액은 41억 유로(6조 2144억원)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03-2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