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내릴 반가운 봄비가 ‘방사능 비’가 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대기 중의 방사성물질이 비를 타고 땅으로 내려올 가능성이 높아서다. 전문가들은 지표보다 대기 상층부의 방사성물질 농도가 더 높을 가능성이 커 이번 비로 지표의 방사성물질 농도가 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0일 학계와 기상청 관계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기 상층부의 방사성물질 농도가 더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 관계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의 경우 상층부에 오염물질이 더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도 상층부의 방사능 농도가 이보다 짙을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김희철 부산대 대기학과 교수는 “지상 1~1.5㎞구간에서 방사성물질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오재호 부경대 환경대기학과 교수도 “오염물질이 외부에서 오는 경우에는 상층부의 오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현재 지표에서 측정되는 수준을 볼 때 상층부도 인체에 유해할 정도로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기술적인 문제 때문에 대기 상층부의 방사성물질량은 측정하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기상청은 이번 주말 서울·경기와 강원 영서에 5㎜안팎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권원태 국립기상연구소장은 “대기 상층부의 방사성물질량이 정확하게 검측되지 않아 단언할 수는 없지만 지표보다 방사성물질의 농도가 높다면 비를 만날 경우 지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에 방사성물질이 섞이더라도 영향력은 미미할 전망이다. 지난 29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공개한 지상 1.2m 지점의 방사성 요오드는 서울에서 가장 많은 0.356m㏃(밀리베크렐)/㎥가 검출되는 등 지역에 따라 최소 0.04m㏃/㎥에서 최대 0.356m㏃/㎥ 범위로 검출됐다. 이는 연간 피폭 방사선량 기준으로 20만분의1에서 3만분의1 수준이다. 권 소장도 “비에 방사성물질이 섞인다 해도 그 양은 극히 미미할 것”이라면서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게 기준치의 3만분의1 수준이라 건강에 영향을 미칠 만큼은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불안하다는 반응이다. 직장인 김모(35)씨는 “지금까지는 비를 맞으면서도 자전거 하이킹을 하곤 했는데 이번 주말에는 하지 않을 것”이라며 “기준치 이하라 괜찮다고 하지만 불안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주부 안모(31)씨도 “아이들과 외출을 계획했는데 취소할 생각”이라며 “영향이 없다지만 아이들은 각별히 조심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3-3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