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생들 하버드 낙제비율 가장 높아, 이유는”

“한국학생들 하버드 낙제비율 가장 높아, 이유는”

입력 2010-12-11 00:00
수정 2010-12-11 18: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영우 박사 연합뉴스
강영우 박사
연합뉴스
 ”우수한 성적으로 하버드대에 가는 한국학생의 낙제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아십니까?”

 한국 시각장애인 최초로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지낸 강영우(66) 박사는 11일 서울 강남구 현대해상 건물에서 열린 ‘글로벌 리더’를 주제로 한 초청강연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이같이 반문했다.

 교육학 전공자이기도 한 강 박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부러워하는 한국의 높은 교육열은 확실히 강점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결정적인 약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매년 하버드대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하는 한국학생들을 예로 들었다.

 강 박사에 따르면 1990년대 중반 하버드대에 입학한 한국학생 비율은 전체 학생 1천600명 중에 6%나 됐다.미국수학능력시험(SAT) 성적이나 내신성적도 매우 우수했다.

 그러나 같은 해 낙제한 학생 중에서 한국학생 비율은 10명 중 9명이나 될 정도로 가장 높았다고 한다.

 강 박사는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가를 조사한 학교 측은 원인이 한국학생들에게는 ‘장기적 목표’(longterm goal)가 없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학생과 학부모 모두 대학에 들어가는 것 자체를 목표로 하다보니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는 목표가 사라져버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링컨의 어머니는 어려운 시기에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꿈을 지켜나가는 방법을 아들에게 심어줬고 레이건의 모친 역시 오늘의 실패가 내일의 성공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의 가치관을 심어줬다“며 “그게 바로 성공의 가장 큰 조건”이라고 역설했다.

 강 박사는 그런 가치관 교육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아이들을 유학 보낸다면 오히려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경고도 빠뜨리지 않았다.

 강 박사는 중학교 때 사고로 시력을 잃었으며 1972년 연세대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197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미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역임했다.

 지금은 유엔 세계장애인위원회 부의장 등으로 활동중인 그는 장남을 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안과의사 중 한 명으로,차남을 백악관의 입법관계 특별보좌관으로 키워내는 등 성공적인 자녀교육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이날 강연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각종 유학정보를 제공해오고 있는 네이버 카페 미국유학서유견문이 주최했다.

 미국유학서유견문은 작년부터 홍정욱 한나라당 의원과 미스코리아 출신 하버드대생인 금나나씨 등 해외에서 공부한 유명 인사들을 초청해 교육과 유학을 주제로 강연회를 가진 바 있으며 수익금은 대부분 구호단체에 기부해오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