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부산 동구 범일동 한국거래소 본사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한국거래소의 방만 경영 등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및 파생상품시장의 개설·운영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2005년 기존의 한국증권거래소·한국선물거래소·코스닥증권시장·코스닥위원회가 합병하여 한국증권선물거래소라는 이름으로 부산에서 출범했다.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에 따라 옛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서 지난해 2월 한국거래소로 명칭이 변경됐다. 지난해 1월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된 뒤 7년만에 감사원 감사 등이 재개됐다.
2005년 기존의 한국증권거래소, 한국선물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코스닥위원회가 합병하여 한국증권선물거래소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였다.
배영식(한나라당) 의원은 “한국거래소의 전 직원이 2008년 6월까지 법인카드 1장씩을 소유했다.”면서 “골프장·유흥주점에서 2년6개월 동안 무려 3030회나 카드 결제를 한 사실이 감사원에 의해 적발됐다.”고 지적했다.
배 의원은 “지난해 기준으로 직원 1인당 급료가 1억원을 넘었다.”며 “초등생 자녀에 사설학원비 지원 명목으로 연간 120만원씩 지급하는 등 급여와 복지 수준이 과도하게 높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 11일 배 의원이 거래소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연봉 1억~1억 5000만원을 받는 거래소 직원 수는 2007년 271명에서 2008년 228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280명으로 대폭 늘었다. 지난해 거래소 직원 700명중 40%가 연봉 1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였다.
국감 자료에 따르면 거래소는 지난 해 자기계발휴가 7일과 경로효친휴가 3일 등 특별휴가 제도를 만들어 연차휴가 보상금으로 1인당 600만원을 지급했다.
한국거래소 공도현 홍보팀장은 “법인카드 문제는 2년전 얘기”라며 “현재는 팀당 카드 1장씩 지급하고 있고, 클린카드 사용으로 골프장 등에서는 쓸 수 없게 돼 있다.”고 해명했다.
공공기관인 한국거래소가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물품을 구매한 것도 도마위에 올랐다.
정옥임(한나라당) 의원은 “한국거래소가 2009년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올해 6월 말까지 건당 5000만원을 초과한 수의계약을 체결한 규모가 총 61건 489억2900만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현행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단가가 5000만원 이하일 경우에만 원칙적으로 수의계약이 가능하다.”며 “한국거래소는 긴급 용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 2월 7252만원 규모의 ‘설날 임직원 기념품(한과세트)’, 3월 3억 2631만원의 ‘체육대회 체육용품’ 등을 수의계약으로 구매했다.
또 정 의원은 “한국거래소가 지난 달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비용을 지원하면서 2년간 최소 6억원을 지출하고 있다.”라며 “공공기관 중 전 임직원에게 스마트폰 약정금액을 지원해 주는 곳이 얼마나 되느냐.”고 물었다.
임영호(자유선진당) 의원도 “한국거래소의 기부금 규모가 100억원대인데, 이중 상당액이 정체불명의 단체 회비로 집행되는 등 거래소 이사장의 쌈짓돈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정(미래희망연대) 의원은 “한국거래소의 전체 업무용 운영 차량 38대에 대한 월 임차료가 4060만원, 연간 4억 8700만원에 이른다.”면서 “2700㏄ 이상 대형 차량이 32대이고, 소형 차량은 2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러한 업무용 차량도 3년마다 최신 대형차로 교체되고 있으며, 올해만 42%가 교체됐다.”고 덧붙였다.
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