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흐름에 중요한 모티프를 제공하는 인물이 초정(楚亭) 박제가(초상·1750~1805)다. 연암 박지원, 청장관 이덕무 등과 함께 18세기 후반 조선 지식사회의 변화를 이끌었던 북학파(北學派)의 핵심인물.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 제약에도 불구하고 세 차례의 규장각 검서관 생활과 네 차례에 걸친 연행(燕行·사신이 중국 베이징에 가던 일)을 통해 탁월한 안목과 폭넓은 국제 감각을 갖춘 것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저서 ‘북학의’(北學議)를 제외하면 박제가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좀체 접할 수 없었던 박제가의 문장 세계가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한국한문학을 전공한 정민 한양대 교수 등은 최근 시집 5책에 실린 시 1712수와 문집 5책의 산문 123편 등 북학의를 제외한 박제가의 모든 저작물을 모은 ‘정유각집’을 완역했다. ‘해제’와 ‘연보’를 덧붙여 그의 일생을 전 3권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정 교수는 완역본을 통해 “북학파로 대표되는 연암그룹 내부의 동향과 당대 지성사의 흐름을 더욱 섬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삶의 궤적에 따른 (박제가의) 인식 변화, 뜻을 같이하는 이들 사이에 오간 우정과 교감, 연행(燕行)을 통해 구체화되는 자아의 각성, 유배지에서 역사와 맞대면하는 뜨거운 격정 등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그의 문학세계를 만날 수 있다.”고 자평했다. 각권 3만 5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