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육칼럼]영어 말문 트이려면…

[교육칼럼]영어 말문 트이려면…

입력 2010-01-19 00:00
업데이트 2010-01-1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일반적인 성인이 영어 공부에 할애한 시간을 단순하게 계산해 보자. 중·고등학교 6년 동안 의무적으로 1주일에 4~5시간 이상씩 수업시간에 영어를 배웠다. 대학에 진학한 이후에도 취업을 위해 토익·텝스·오픽 등 다양한 영어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들였다. 이 정도로 공부했으면 발음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적어도 영어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이 되고, 하고자 하는 말을 영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할텐데, 토익 점수만 높을 뿐 실제로 영어로 말 한마디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 우리는 영어공부에 그렇게 공력을 쏟고도 말하기를 못하는 걸까? 첫 번째 이유는 우리가 공부한 영어들이 머릿속에 영단어·영문법·생활영어 등으로 각기 따로 있기 때문이다. 영어를 언어가 아니라 학습과목으로 여겼던 데서 문제가 시작된다.

자, 여러분은 자동차 운전을 배울 때 어떻게 하는가. 먼저 운전석에 앉아 시동을 걸고 기어를 조작하고 액셀레이터를 밟으면 일단 차는 움직인다. 그 후에 속도조절이랄지, 교통신호에 따른 자동차 내부 버튼 조작법 등을 배우면 된다. 자동차 운전을 배우기 위해 보닛을 열고 자동차 엔진을 열어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운전을 하면 아마 10년이 지나도 자동차 부품의 이름만 알 뿐 운전은 절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영어교육은 “자, 영어를 배워보자.”라고 하고는 마치 자동차 엔진의 원리와 개별 부속품의 이름과 역할 등을 배우는 격으로 온갖 영문법과 단어부터 배우기 시작한다. 기본원리는 제쳐둔 채 계속 영어부품 외우기만 한다. 그러니 10년이 지나도 우리 머릿속에 영단어나 영문법과 같은 영어 부품들이 따로따로 떨어져 언어로서의 기능을 못하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자연적 언어발달 단계를 무시한 무조건적인 예문암기 때문이다. 우리 말을 배우는 아이들을 보라. 태어나서 1년은 듣기만 한다. 돌 지나서야 옹알이도 하고 ‘엄마’와 ‘아빠’ 등 단어를 말할 수 있다. 3살이 넘으면 짧은 문장 연결이 가능하고, 5살 정도면 의사소통은 충분해진다. 이것이 바로 한 언어를 배울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습득 단계이다.

이 과정을 영어 공부에 접목시켜 보자. 처음에는 듣기 위주로, 다음에는 하나 둘씩 단어를 배우고, 이후에는 그 단어들을 엮어 간단한 의사소통을 하다가 아는 단어가 많아지면 문장을 말하기 시작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어순은 모국어 순서로 나온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 단계에서 ‘콩글리쉬’라는 표현으로 기를 죽이는데 전혀 그럴 필요가 없는 자연스러운 단계이다. 이 단계를 극복하지 않으면 이후 보다 자연스러운 영어 문장으로 넘어갈 수가 없다. 기존 우리 영어 학습현장에서는 이런 자연스러운 단계를 무시하고 곧바로 완벽한 영어를 가르치려고 했다. 그것이 한 번에 잘 될 리가 없는 것임에도.

세 번째 이유는 의사소통을 통해 영어를 익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어는 언어다. 영어는 커뮤니케이션 도구이지 시험과목이 아니다. 언어는 사람끼리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자연스레 익혀지는 것이다. 강제로 외운 것은 결국 머릿속에 따로따로 있을 뿐 하나로 연결되어 언어로 구실하지 못한다. 앞의 두 번째 이유에서 설명했던 자연적인 언어발달 단계는 실제로 의사소통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공부할 때 거치게 되는 단계이다. 미국에서건 한국에서건 영어를 배우려면 영어로 하는 의사소통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정 철 정철인터랩 이사장
2010-01-19 1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