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농식품부는 신경 동시 분리를 뼈대로 한 농협개혁안을 이달 안에 입법예고할 것으로 보여 지난해 말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농식품부와 농협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를 전망이다.
16일 농식품부 등에 따르면 15일 농협 이사회가 의결한 농협 사업구조개편안은 민관 합동기구인 농협개혁위원회의 개혁안인 2011년 신경 동시분리안과 상당히 거리가 있다. 특히 신용 사업을 2012년 금융지주회사로 우선 독립시키면 경제 사업의 분리가 불투명해질 수 있고, 이는 금융 중심이라는 농협의 기존 문제를 답습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게 농식품부의 평가다. 더구나 금융지주에는 15조원이 출자된다. 2012년 전체 자본금 23조 4000억원의 3분의2에 달한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등 농민단체들도 농협안에 반대하는 이유다.
농협중앙회 명칭을 유지하겠다는 농협안 역시 정부 생각과 상당한 온도차가 발견된다. 또 다른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조직의 혁신과 쇄신을 보여주기 위해 명칭을 먼저 바꾸는 게 바람직하다.”고 못 박았다.
자본 확충 방안도 논란거리다. 농협은 올해 말 중앙회 자본금은 13조 8000억원, 2012년 분리 시점에서의 필요 자본금은 23조 4000억원 정도로 예상했다. 모자라는 액수 9조 6000억원 중 정부 지원금만 6조원이다. 내년 농림수산식품 예산안 17조 2000억원의 3분의1에 달한다. 또한 지역조합이 운영하는 상호금융 부문도 분리하는 대신 농협 안에는 ‘대표이사를 둘 수 있다.’는 식으로 모호하게 처리됐다.
이에 대해 농협 관계자는 “사업 구조를 잘못 개편하면 조직이 피해를 보고, 이는 농민들에게 바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해명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