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섬지구, 여의지구 등 다른 5곳의 한강수영장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7월 말 한강일대 수영장들이 개장한 이후 벌어지는 풍경이다.
이같은 일이 벌어지는 것은 수영장의 주차 수용능력이 턱없이 부족하고 수영장과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9일 고모(40)씨는 “주차장에 차를 대려면 오래 기다려야 하는 데다 주차장과 수영장 사이 거리가 멀다.”면서 “여러차례 차를 세웠지만 제재를 받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모(26)씨는 “앞차가 갓길에 세우는 것을 보고 그냥 세웠다.”고 말했다.
잠실지구의 경우 주말마다 수영장(수용인원 3400명)이 꽉 차지만 주차장은 5개소 710대를 댈 수 있다. 뚝섬지구의 수영장은 수용인원이 3000명이지만 주차장은 888대 수준이다.
특히 이들 주차장은 축구장, 둔치 등 한강공원 방문객들과 함께 쓰기 때문에 체감 주차난은 더 심각하다. 한강공원관리소 관계자는 “주말에 이면도로를 이용한 사람들이 주차공간이 남아 있는 평일에도 2000원의 주차료가 아까워 이면도로를 이용하곤 한다.”고 밝혔다. 주차장이 대부분 수영장과 멀리 떨어져 있어 처음부터 갓길 주차를 택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문제는 이들 도로가 자동차전용도로인 올림픽대로 또는 강변북로와 이어지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는 점이다. 운전자 양모(33)씨는 “옆에 서 있는 차들 때문에 시야확보가 잘 안 되고 주차하기 위해 후진하는 차들로 인해 교통정체도 심하다.”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경찰과 구청은 다른 얘기를 한다. 구청은 자동차전용도로는 이면도로까지 경찰의 관할이라는 입장인 반면, 경찰은 주·정차 단속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이라고 서로 떠넘기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나들이객을 상대로 단속을 하기도 부담스럽고, 교통흐름을 방해했다는 명목도 실제로 적용하기가 까다롭다.”면서 “접촉사고가 날 경우에는 주·정차 과태료도 같이 발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