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 경계선 5㎜ 파고든 충치도 살려
치아 상실 원인의 절반은 충치다. 충치가 심해 잇몸경계선까지 썩어들면 지금까지는 치아를 뽑고 인공치아를 해넣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충치 부위를 제거하면 대부분은 남은 이뿌리가 작아 크라운 등 인공치아를 얹기 어려워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남은 이뿌리를 위쪽으로 옮겨 인공치아를 얹는 재생술을 활용하면 얼마든지 자연치를 살릴 수 있다. 치아를 옮겨 뼈가 빈 공간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뼈조직이 차오르게 된다.
이런 자연치소생술은 비용이 임플란트의 절반 수준이며, 치료 기간도 1개월로 임플란트의 3분의1에 불과해 치료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자연치재생술로는 잇몸 경계선 밑을 5㎜까지 파고든 충치나 외상으로 뿌리가 절반가량 손상된 치아까지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잇몸 밑으로 5㎜ 이상 파고든 충치나 뿌리가 많은 어금니는 시술이 어렵다. 살려낸 자연치는 보철물 교체 등 관리만 잘하면 임플란트보다 훨씬 오래 사용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 회복부터
자연치를 살릴 수 없다면 인공치아를 해넣어야 한다. 음식을 씹거나 미관을 고려하면 가장 나은 방법은 임플란트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임플란트를 지지할 잇몸을 만들어야 한다. 잇몸이 약하면 임플란트를 지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잇몸 회복 프로그램을 통해 잇몸뼈와 잇몸길이·모양 등을 단계적으로 개선한 뒤 시술을 하게 된다.
흔히 임플란트는 썩지 않는다고 여겨 관리에 소홀하기 쉽다. 하지만 자연치처럼 임플란트 치아에도 ‘임플란트 주위염’이라는 잇몸병이 생길 수 있다. 임플란트 주위에 세균막인 치태(플라그)가 생겨 염증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임플란트 치아는 손상된 잇몸 위에 심은 경우가 많아 정상 치아보다 잇몸뼈 파괴가 더 잘 오고, 양상도 심각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직후에는 매 3개월, 1년 후부터는 최소 6개월마다 검진을 받아 나사풀림 등을 살피고, 스케일링을 해줘야 한다.
●치아 지키려면 수시로 ‘아~’
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65∼74세 노인의 자연치아 수는 17.2개에 불과하다. 건강한 치아를 오래 지키려면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적어도 1년에 한번은 치석·치태를 제거하고 전반적인 치아 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 가정에 치과용 덴탈 미러를 준비해 수시로 치아 안팎을 살펴보는 습관도 필요하다. 지오치과네트워크 이승범 원장은 “임플란트 때문에 쉽게 자연치를 빼는 사례가 많다.”며 “치아의 기능이나 관리 등을 고려할 때 자연치를 살리는 것보다 나은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도움말 지오치과네트워크 이승범·송상헌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