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위원은 “현재 사건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어 보도 전체를 평가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동안 보도를 보면 외신 보도에 지나치게 의존해 독자적인 생산 콘텐츠가 없었다.”고 꼬집었다. 임 위원은 “외신 보도를 그대로 받아 전달해 주다 보니 ‘혼선된 정보’가 많이 나오는 등 남발식 보도로 소문 전달 외에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문형 위원은 “무엇보다 이번 사태를 보는 전문가들의 기고에 대해 문제가 있었다. 각 매체들을 보면 탈레반에 대해 잘 모르는 엉뚱한 사람들이 나온 것을 본 적이 있다.”면서 “이 사건에 대해 오랫동안 이 문제를 연구해 온 외국 전문가들과 반 탈레반 정서를 지닌 중동국가 전문가들의 시각도 필요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서울신문이 정신과 의사 등을 통해 진단한 것이 독창적이었는데 앞으로 피랍 사태가 끝난 뒤 좌담회 등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 등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 위원은 “국제적으로 큰 사건이 발생했는데 현지에 특파돼 취재하거나 교포 등을 통해 현지 상황을 전달하는 것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서 위원은 “이번 사건은 국내 언론의 한계를 보여줬다. 해외 연락망과 외교 부서 협조, 지역적 한계로 인한 빈약성 등이 또 나타났다. ”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노 사장은 “날카로운 지적을 겸허하게 받겠다. 앞으로 보도에 있어 지적한 문제를 보완해 나가겠다.”면서 “그렇지만 인명이 달린 심각한 문제인 데다 현장 접근이 어려워 보도에 한계가 있었음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노 사장은 “이 사건이 끝난 뒤 지적한 문제에 대해 좌담도 할 것이고 원인과 대책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짚고 넘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후원:신문발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