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달리작품 훼손으로 본 관람문화] 작품 함부로 만지고 공연장에선 떠들고

[달리작품 훼손으로 본 관람문화] 작품 함부로 만지고 공연장에선 떠들고

입력 2005-02-22 00:00
업데이트 2005-02-22 08: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의 관람 예절 문화가 예전에 비해 많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많이 뒤떨어진다고 문화·예술인들은 입을 모은다. 얼마전 부산의 한 미술 전시장에서 외국 유명 작가의 전시 작품이 관람객의 부주의로 훼손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다행히 훼손 부위가 미미해 원만히 해결됐지만, 작품 파손으로 인한 국제적인 망신과 함께 국제 신뢰도 하락이라는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 관람 문화의 부재는 그동안 무수히 지적돼 왔으나 지금까지도 정착이 되지 않고 있다. 무엇이 문제이며 대책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짚어본다.

전시·공연장 관람문화의 예절이 없다

이미지 확대
관람객의 부주의로 손상된 ‘뉴튼에게 경의…
관람객의 부주의로 손상된 ‘뉴튼에게 경의… 관람객의 부주의로 손상된 ‘뉴튼에게 경의를 포함’이라는 작품. 전시를 주최한 마이아트링크측은 경종을 울려주기 위해 떨어져 나간 추 부분과 파손된 작품을 그대로 전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이아트링크 제공
최근 부산에서는 외국 유명 작가 2명의 전시회가 비슷한 시기에 잇따라 열렸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가들의 실제 작품을 볼 수 있는 전시회여서 비단 미술 애호가뿐 아니라 일반인들과 학생들도 직접 전시장을 찾아 감상의 기회를 가졌다.

그러나 비싼 돈을 주고 작품을 빌려 전시회를 연 흥행 업체들은 전시 이후 폐장 때까지 줄곧 가슴을 졸여야 했다. 혹시나 작품 파손 등의 사고가 일어나지 않을까 해서이다. 전시장과 공연장 입구 곳곳에 ‘만지지 말라’,‘질서를 지켜 달라’,‘조용히 하라’는 등의 문구가 적힌 팻말이 걸려 있지만 좀처럼 고쳐지지 않고 있다.

결국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초현실주의 작가 살바도르 달리탄생 100주년 기념 순회전’(2004년 9월∼2005년 2월26일)에 출품된 10억원대의 조각 작품이 지난달 20일 파손되는 불상사가 발생한 것. 뉴턴이 땅에 떨어지는 사과를 추처럼 잡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1969년 조각 작품 ‘뉴턴에게 경의를 표함’의 추 부분이 관람객 중 누군가에 의해 훼손됐다.

전시주최측인 (주)마이아트링크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이 설치돼 있고 주변에 전시관리팀이 배치돼 있었는데도 사고가 일어났다.”며 “호기심 많은 관람객이 추 부분을 만지다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성숙된 관람문화를 아쉬워했다. 달리의 대표작으로 10억원을 호가하는 고가인 이 작품은 다행히 파손 정도가 가벼워 수리비 정도를 지불하는 것으로 합의가 됐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주최측은 어렵게 유치한 전시회인 만큼 관람 문화에 대한 경종을 울리기 위해 떨어져 나간 작품을 액자에 넣어 계속 전시를 하고 있다.

얼마전 부산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색채의 마술사 ‘샤갈’의 작품 전시회에서도 어린이들이 관람장에서 뛰어다니며 작품을 만지는 사례가 더러 있었다. 앞서 지난해 10월 열린 제5회 광주비엔날레에서도 일부 관람객들의 성숙되지 않은 관람 행태로 인해 미술축제 분위기를 흐리게 했다는 지적이 지역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당시 친구들과 함께 행사장을 찾은 김은아(32·여·부산 부산진구 부전동)씨는 “작품 관리를 위해 전시장 곳곳에 사진 촬영금지 안내판을 설치했는데도 카메라폰으로 사진을 찍는가 하면 일부는 자원봉사요원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큰소리로 떠드는 등 소란을 피워 불쾌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달리 전시장 지킴이 신주영(25·여)씨는 “작품 앞에서 사진 촬영을 못하도록 제재하면 오히려 화를 낸다.”며 “몰래 사진을 찍거나 뛰어다니며 소란을 피우는 아이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음악이나 무용 등 다른 공연장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휴대전화 울림은 물론 심지어 통화까지 한다. 또 지각입장과 잡담, 어린이들의 소란 등 기본적인 예절마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부산문화회관 공영훈 공연과장은 “외국 유명 악단이 공연할 때는 마음이 조마조마하다.”며 “특히 교향악이나 실내악의 경우 극도의 정숙성이 요구되는데 일부 몰지각한 관객이 떠들거나 시끄럽게 하는 등 연주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발생할 때에는 쥐구멍이라도 찾고 싶은 심정”이라고 덧붙였다.

왜 관람·공연 문화 고쳐지지 않는가

한마디로 말해 어릴 때부터 관람 공연 문화에 익숙하지 못한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는 우리의 경우 관람·공연 문화 역사가 외국에 비해 오래되지 않았고, 공연장과 전시회를 찾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드물어 관람문화 예절을 익히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교육기관과 단체 등에서 관람문화 예절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도 또 다른 원인이다. 친구들과 함께 달리전시장을 찾은 중학생 윤영진(16)군은 “선생님으로부터 관람이나 공연때 지켜야 할 매너 등에 대해서 배운 적이 없다.”고 말했다.

부모들도 문제다. 미술계 관계자는 “아이들이 뛰어다녀도 우리나라 부모들은 전혀 나무라지 않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일부 미술관은 나이 제한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해 ‘올해의 작가전’(공예작품 전시전)에서 개관이래 처음으로 입장객을 중학생 이상으로 제한했다.

건국대 주형근(43·서양학) 교수는 “관람 문화 교육은 미술관, 박물관 등 현장에서 직접 가르쳐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정착돼 있지 않다.”며 “산교육이 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작품 감상법, 관람예절 등 소양교육을 가르치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철저한 작품 보호정책이 실시돼야 한다

관람객들의 성숙한 의식 못지않게 작품 보호를 위한 미술관·박물관의 세심한 배려도 필요하다. 올초 프랑스 오르세미술관을 방문한 최경미(29·직장인)씨는 작품을 감상하다가 당황했다. 수첩에 볼펜으로 쓰고 있는데 전시실 지킴이가 다가와 몽당연필을 조용히 건네줬기 때문. 혹시라도 볼펜을 작품쪽으로 떨어뜨리면 작품에 선이 그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을 들었다. 최씨는 “사소한 것까지 신경을 쓰는 미술관의 태도에 굉장히 놀랐다.”고 말했다.

선진국에서는 작품을 보호하려는 정책도 철저하게 실시하고 있다. 검색대를 설치해 작품에 해가 될 만한 물건을 가려내고 소지품 자체를 안내데스크에 맡기는 곳도 있다. 특히 음료수·음식물·우산 휴대를 금지하고 있다. 홍콩·일본 등의 미술관에서는 제복을 입은 사설경찰이 보호하고 있다.

과천국립현대미술관 이추영 학예연구관은 “작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의 제재책을 써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작품을 보여주기 위한 전시인데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것을 막는다는 게 전시자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딜레마”라며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작품 훼손 대책을 마련해야 할지는 고민”이라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서울 김유영 기자 jhkim@seoul.co.kr
2005-02-22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