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쇠제비갈매기 어른과 새끼. 부산시 제공
부산시 낙동강 관리본부는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8차례에 낙동강 하구에서 쇠제비갈매가 번식 상황을 관찰한 결과 도요등과 신자도 일대에서 총 2569개체가 발견됐다고 30일 밝혔다. 한번에 관찰된 최대 개체수는 550마리 이며, 지난달 20일 신자도 모래톱에서 둥지 224개, 알 545개가 관찰되 번식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는 2013년 이후 9년 만의 최대 규모 번식이다.
쇠제비갈매기는 매년 4~7월 호주에서 날아와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 등에서 서식하는 대표적 여름철새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 관심 대상 종으로 보호되는 종이다.
낙동강 하구는 2013년까지 전국 쇠제비갈매기의70%가 번식하는 곳이었지만, 이후 기후변화와 먹이감소, 포식자의 존재 등으로 개체수가 급감해 연간 1~3개의 둥지만 이곳에서 관찰됐다.
낙동강관리본부는 쇠제비갈매기 번식지로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2018년부터 서식지 내 유도모형을 설치하고 너구리 등 포식자의 이주 조처를 취하는 등 관리해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