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일본 ‘세잔’…한국은 4개 업소가 50위권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일본 ‘세잔’…한국은 4개 업소가 50위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3-26 21:59
수정 2024-03-27 08: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선정된 일본 도쿄의 ‘세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eocm 제공.
아시아 최고 레스토랑에 선정된 일본 도쿄의 ‘세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geocm 제공.
아시아 최고의 레스토랑에 일본 도쿄의 ‘세잔’이 선정됐다. 한국의 레스토랑으로는 서울 강남의 ‘밍글스’ 등 4개 업소가 50위권 안에 오르는 성적을 냈다.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아시아 50br)은 26일 오후 8시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호텔에서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발표 및 시상식’을 열고 아시아 최고의 레스토랑 50곳을 선정, 발표했다. 1위를 차지한 도쿄의 ‘세잔‘은 아시아 50br이 선정한 ‘일본 베스트 레스토랑’의 영예도 함께 안았다. 2위 역시 일본 도쿄의 ‘프로릴레쥬’가 차지했다. 3위는 태국 방콕의 ‘가간 아난드’였다.

한국에서는 서울 강남의 ‘밍글스’가 13위에 올랐다. 이 업소는 ‘한국 베스트 레스토랑’의 영예도 함께 안았다. 이어 서울 강남의 ‘세븐스 도어’가 18위, 서울 종로의 ‘온지음’이 21위, 서울 용산의 ‘모수’가 41위에 각각 선정됐다.

김현기 서울시의원,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대상, 35세~39세 청년 포함된다

서울시의회 김현기 의원(국민의힘·강남3, 전반기 의장)은 지난 1월 7일 발의한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4월 25일 제330회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기존의 ‘가족돌봄청년’ 용어에 ‘청소년’을 추가하여 ‘가족돌봄청소년·청년’로 변경 ▲청년의 상한 연령을 34세에서 39세로 대폭 확대 ▲관련 업무 종사자가 직무 외 목적으로 업무 비밀을 누설하거나 이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했다. 청년의 상한 연령을 ‘39세 이하’로 확대하는 것은 현행 ‘서울시 청년 기본 조례’에서 청년을 19세 이상 39세 이하 사람으로 정의한다는 측면에서 서울시 입법과 행정의 정합성을 강화해, 그동안 ‘청년기본법’ 기준 때문에 지원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35세~39세 가족돌봄청년들에게 지원을 확대하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지난 3월 국회에서 ‘가족돌봄 등 위기아동·청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가족돌봄아동·청년 지원·관리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지만, 여전히 청년의 상한 연령을 34세 이하로 정의하며 지원대상의 범위를 소극적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이번 조례개정으로 서울시는 장애, 정신
thumbnail - 김현기 서울시의원, 서울시 가족돌봄청년 지원대상, 35세~39세 청년 포함된다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은 미쉐린 가이드와 함께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미식 평가 가이드다. 앞서 21일 발표된 51~100위에는 이타닉 가든(62위), 본앤브레드(64위), 솔밤(65위), 권숙수(89위), 알라 프리마(91위) 등의 국내 레스토랑이 이름을 올렸다. 23일 개막한 이번 행사에선 세계적인 셰프와 미식가, 평론가, 미디어 등 관계자 800여 명이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신라호텔, 포시즌스호텔 등에서 열리는 시상식과 만찬, 포럼 등 공식 행사에 참가했다. 이날 시상식엔 오세훈 서울시장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해 축사를 했다. 폐막은 27일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