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등재 10년’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암수 100m 줄 제작 대장정

‘유네스코 등재 10년’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암수 100m 줄 제작 대장정

이종익 기자
이종익 기자
입력 2025-03-12 10:49
수정 2025-03-12 1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4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를 위한 큰 줄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당진시 제공
2024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를 위한 큰 줄 제작이 진행되고 있다. 당진시 제공


올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충남 당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 사용될 길이 100m, 지름 1m가 넘는 큰 줄 제작이 시작됐다.

당진시는 기지시줄다리기 민속축제에 쓰일 큰 줄 제작이 12~13일 진행된다고 밝혔다.

큰 줄은 4월 10~13일까지 송악읍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과 기지시 틀못광장 일원에서 열리는 ‘2025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 참가자들이 사용할 줄이다.

암숫줄 길이 각 100m의 큰 줄은 지름 1m와 무게 40t이 넘는 거대 규모를 자랑한다.

이미지 확대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현장_기지시줄다리기 보존회 홈페이지 갈무리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현장_기지시줄다리기 보존회 홈페이지 갈무리


앞서 보존회에서는 지난 2월 24일부터 매일 20여명의 인원이 참여해 짚 6000단으로 큰 줄의 기초가 될 작은 줄을 제작해 왔다.

참가자들은 12일 작은 줄 3가닥의 중간 줄을 만들기 시작해 13일 수백 명의 마을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참여해 큰 줄 2개를 제작한다.

이후 4월 6일까지 암숫줄 길이 각 100m의 큰 줄에 머릿줄, 곁 줄, 젖줄 등을 연결하면 모든 제작 과정이 끝난다.

구은모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 보존회장은 “큰 줄 제작으로 기지시줄다리기의 위용을 보여줄 거”이라며 “올해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 등재 10주년을 맞이한 기지시줄다리기 매력을 느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