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이 내어 주는 ‘먹이’… 소박한 맛에 삶은 더 화려해졌다

텃밭이 내어 주는 ‘먹이’… 소박한 맛에 삶은 더 화려해졌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6-06 00:00
수정 2025-06-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먹이는 간소하게/노석미 지음/사계절/276쪽/2만원
안주는 화려하게/노석미 지음/사계절/216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노석미 작가
노석미 작가


“간단하게 먹고 살지만 먹는 일에 대해 의미를 두고 사는 편이다. 간소하고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먹이를 먹고 살고 싶다.”

화가이자 그림책 ‘귀여워’, ‘굿모닝 해님’ 등으로 사랑받는 노석미(54) 작가가 ‘먹이’에 대한 진심과 즐거움을 담은 에세이를 펴냈다. ‘먹이는 간소하게’(이하 먹이)와 ‘안주는 화려하게’(안주)다. ‘먹이’가 2018년 출간된 이후 재출간된 것이라면 ‘안주’는 신작으로, ‘먹이’의 후속편 격이다.

●그림과 함께 담은 제주·양평 텃밭살이

왜 하필 ‘먹이’라는 표현을 썼을까. 작가는 “‘음식’이나 ‘요리’가 아닌 먹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는 것은 소박하다거나 간소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 “사람이 먹고사는 일이 동물의 그것에 비해 특별하다고 여기지 않”기 때문이라고 덧붙인다.

작가는 15년 전 경기 양평에서 시골살이를 시작했으며 지금은 제주와 양평을 오가며 산다. 에세이에는 작가가 작은 텃밭을 일구며 “조금은 수고롭더라도 가능한 범위 안에서 음식의 재료를 직접 키우고 요리해서 먹고사는” 모습을 다정한 그림과 함께 담았다.

이미지 확대
벌레 먹은 복숭아
벌레 먹은 복숭아


●벌레와 과일 나누지만, 시든 채소도 양식

사시사철 땅이 내주는 먹거리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절로 감사한 마음이 든다. 작가가 시골에 집을 짓기도 전에 심었다는 보리수 묘목은 이제 꽤 큰 나무가 돼 해마다 잼을 만들고 이웃에게 나눠줘도 충분할 만큼 큰 품을 기꺼이 내준다. 딸기와 복숭아는 벌레들과 나눠 먹어야 하지만 딸기스무디를 만들거나 복숭아 조림을 만들기에 충분하다. 시래기는 또 어떤가. 말리는 동안 보기 흉한 것만 지나면 다른 어떤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훌륭한 겨울 양식이 돼 준다. 심지어 깻잎처럼 심지 않았는데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것도 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제철 먹거리 요리까지 술을 부르는 맛

작가는 끼니처럼 술도 “소박하지만 아름답게, 어느 하나도 의미가 없는 것이 없이” 마신다. 후속편에서는 사계절,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살피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제철 먹거리들이 술을 부르는 안주가 돼 식탁 위에 차려진다. 이른 봄 연하고 부드러운 잎사귀 식감을 즐길 수 있는 산마늘 파스타, 오월이면 진한 향기에 이끌려 먹게 되는 아까시꽃튀김, 무 수확을 끝낸 제주 밭에서 무 파치를 주워서 만드는 무전까지. 대체로 서너 줄을 넘지 않는 요리법은 요리를 잘 못하는 사람에겐 큰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지만 식재료를 얻기까지의 과정을 담은 글과 함께 곁들인 그림을 보다 보면 한 번쯤 도전해 보고 싶은 의지를 돋운다.

“나는 언제나 괜찮은 것은 종잇장 차이라고 생각한다. 조금의 차이가 전부이다. 맛있는 음식이나 아름다운 물건이나 모두 조금의 차이가 만들어 낸다. 처음부터 좋은 것을 쓰고 사소한 것에도 타협하지 않았다면 무조건 아름다운 음식이 된다. 그것이 내겐 가장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요리이다.” 소박한 재료로 화려함을 빚어내는 비법이 이 책에 담겼다.
2025-06-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