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무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원로배우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나의 무대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원로배우 박정자, 지인 130명 ‘가상 장례식’ 초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5-05-13 17:43
수정 2025-05-13 17: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배우 박정자. 서울신문 DB
배우 박정자. 서울신문 DB


‘그리고 오늘 여든세 살/나의 장례식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배우 박정자(83)가 지인 130여명에게 보낸 부고장의 일부다. 부고장에 적힌 날짜는 2025년 5월 25일 오후 2시, 진행 장소는 강릉시 사천면 신대월리 순포해변으로 적혀 있다.

‘박정자의 마지막 커튼콜’이라는 제목의 부고장은 배우 유준상 감독이 연출하는 영화 ‘청명과 곡우 사이’의 장례식 장면에 쓰인다. 박정자와 유 감독이 이야기를 나누다 영화 속 주인공이 하얀 한지로 만든 작은 상여를 직접 든 채 해변을 배경으로 걸어가고, 지인들이 뒤따른다는 ‘장례 축제’ 아이디어를 냈다. 지인들은 단역들 대신 박정자가 직접 지인을 초대하기로 했다.

박 배우가 이번 장례 축제에 초대한 이들은 30대부터 80대까지 연령이 폭넓다. 배우 손숙, 강부자, 송승환, 손진책 연출 등 연극계 동료들과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정지영 감독, 소리꾼 장사익 등 평소 박정자와 친분이 두터운 예술인들이 초청받았다. 이 밖에 연극기획자 박명성, 예술경영인 이창기, 건축가 유병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쳤다.

이들 모두에게 숙식을 제공할 계획인 박정자는 한 언론사와 인터뷰에서 “우리가 왔다가 가는 길인데 축제처럼 느껴지기를 바랐다. 그래서 축제처럼 준비했다”고 밝혔다. 부고장에 ‘꽃은 필요 없습니다. 꽃 대신 기억을 들고 오세요’, ‘오래된 이야기와 가벼운 농담을, 우리가 함께 웃었던 순간을 안고 오세요’라고 적은 이유이다.



24절기 가운데 다섯 번째 절기인 ‘청명’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곡우’는 이로부터 보름 뒤인 여섯 번째 절기로,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해준다는 시기이다. 봄 기운이 가장 화창한 시기를 제목으로 내건 영화는 한 여배우의 생애 여정을 따라가며 삶과 죽음의 의미를 헤아린다. 메가폰을 잡은 배우 유준상은 앞서 ‘내가 너에게 배우는 것들’(2016), ‘아직 안 끝났어’(2019), ‘스프링 송’(2021) 등을 연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