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오사카대 연구진, ‘노화 세포 복구’ 단백질 발견


노화 관련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없음. 픽사베이
노화로 인해 생기는 주름과 피부 탄력 저하 등을 개선하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는 있지만, 이는 세포 수준에서 진정으로 시간을 되돌리는 방법은 아니다. 최근 이러한 아쉬움을 달래줄 노화된 세포를 젊게 되돌릴 수 있는 ‘핵심 단백질’이 발견돼 화제다.
일본 오사카대 연구팀은 최근 단백질 ‘AP2A1’을 조절하면 세포 노화를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셀룰러 시그널링’(Cellular Signalling)을 통해 밝혔다.
AP2A1 단백질이 생물학적 시계를 되돌려 노화로 인한 손상을 복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AP2A1 단백질이 실험실에서 배양한 노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AP2A1을 억제하자 노화 세포가 다시 작아지고 활발하게 분열하면서 젊은 세포의 특징을 되찾았다. 반대로 AP2A1을 증가시켰을 때는 노화 세포가 더 커지고 노화 속도가 빨라졌다.
연구팀은 노화 세포가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정상 세포의 최대 6배까지 커지며, 내부 구조가 변화해 신체 조직을 손상하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피라완 찬타초티쿨 박사는 “노화 세포 내부에 스트레스 섬유라는 두꺼운 구조물이 형성되면서 세포가 점점 커지게 된다”며 “AP2A1 단백질이 스트레스 섬유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은 이론적인 수준에 그친다. 이번 연구는 세포 수준에서만 진행됐으며, 동물 실험이나 임상 실험이 없는 상태다. 실제 인체에서 효과를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완전한 노화 치료제가 나오기까지는 추가적인 연구와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세포 수준에서 노화를 되돌릴 가능성을 발견한 획기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오사카대 신지 데구치 박사는 “AP2A1은 노화의 중요한 조절 인자로 향후 노화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