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터 어른까지 평발이 뭐길래
직장인 여성 이모(34)씨는 구두를 포기한 지 오래다. 신을 때마다 발 안쪽 오목한 곳이 아파 하이힐은커녕 굽이 낮은 로퍼마저 포기했다. 이씨는 “정형외과에 가서 발 사진을 찍었더니 ‘아치가 완전히 내려앉아 발이 좌우로 커졌다’고 하더라”며 “족저근막염도 앓고 있기 때문에 발에 하중이 실리는 운동은 최대한 피하라고 해서 뛰거나 걷는 것도 자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발은 가장 흔한 발의 변형으로, 질환이 아니라 발의 모양을 묘사한 용어다. 의학적 용어로는 ‘편평족’이라고 하며 발 안쪽 면에 있는 오목한 부분이 소실되고 발 앞부분과 뒤꿈치가 바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뜻한다. 별다른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보행장애를 유발하는 관절 강직이나 심한 변형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없는 환자는 대부분 치료가 필요 없다. 그러나 발을 자주 삐거나 발의 심한 변형으로 인해 보행장애 혹은 피부변형 등이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아이의 평발 때문에 정형외과를 찾는 학부모들이 많다. 그러나 의료진은 평발인 아이 100명 중 95명은 아무런 치료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어릴 때는 발의 유연성이 커 체중이 실리면 발 안쪽 아치가 사라진다. 체중이 실리지 않거나 까치발을 하면 발 안쪽 아치가 다시 살아난다. 이를 ‘유연성 평발’이라고 한다. 아이의 이런 모습을 보고 병원에 데려오는 보호자가 많지만 사실 크게 걱정할 게 없다. 만 8~10세에서 서서히 교정되며, 10세 이후까지 지속되는 경우는 전체의 4% 정도로 보고된다.
문제는 발에 불편함이나 통증이 느껴지거나, 한쪽 발로 까치발 서기가 잘 안 되거나, 만 10세 이후에도 평발이 지속되는 사례다. 체중 부하와 상관없이 아치의 소실이 나타나는 ‘강직성 편평족’이나 신경근육 장애에 의한 ‘신경근육성 편평족’은 평발의 정도도 심하다. 이 경우에는 소아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강승철 서울아산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는 “발 내측에 뼈가 자라면서 성인형 평발로 가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이러한 변형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평발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통증 발생 시 모호하고 둔한 통증이 발목에서 발목 관절, 하지까지 발생할 수 있다. 통증은 주로 장시간의 보행 및 운동 후 근육 피로, 족저근막의 과도한 신장 등에 따라 나타나며 만성적인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신발 안쪽이 주로 닳게 된다. 소아인 경우에는 달리기나 먼 거리를 걷는 것을 피하거나 체육 활동을 싫어하게 된다. 성인의 경우에는 외관상 발 안쪽 아치가 소실되고 발뒤꿈치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진다.
강직성 편평족인 경우에는 원인 질환에 의한 통증이나 발을 자주 삐는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후 경골근건 기능 장애’와 관련한 통증 및 족부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한다. 소아의 유연성 평발은 편한 신발을 신도록 해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보조기나 특수 신발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체중이 과도하고 평발 변형이 심해 발 안쪽에 굳은살이 생기고 피부가 벗겨졌거나 족근골 결합 등에 의해 발을 자주 삐는 특별한 경우에 한해 보조기나 특수 신발이 도움이 된다.
성인의 경우에도 증상이 있다면 아치 지지대 깔창을 깔 수 있다. 아킬레스건이 단축돼 있다면 스트레칭도 필요하다. 효과가 입증된 것은 아니지만 발가락 끝으로 걷거나 발가락 올리기 운동을 반복해 후 경골근을 강화시키는 운동도 해 볼 수 있다. 장기간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는다거나, 심한 변형으로 구두 모양이 이상해진 사례라면 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신경근육성 질환과 관련된 평발이거나 청소년기 이후 후 경골근건 기능장애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수술 방법으로는 변형 교정을 위해 발 안쪽의 건을 단축시키는 방법, 발뒤꿈치 뼈를 늘이는 방법, 발목뼈와 발뒤꿈치 뼈 사이에 삽입물을 넣거나 관절을 고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평발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족저근막염’을 들 수 있다. 뒤꿈치 안쪽에서부터 통증이 시작되는 족저근막염은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처음 몇 걸음 동안 심한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평발과 족저근막염을 악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굽이 없거나 낮은 신발이다. 체중 부하는 발 뒷부분에 가장 높게 일어나는데, 굽이 낮은 신발은 충격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이다.
정비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플랫슈즈나 슬리퍼, 샌들같이 굽이 1㎝ 정도로 낮은 신발은 밑창이 얇고 딱딱하다 보니 보행 시 반복적으로 족저근막에 손상을 줄 수 있다”며 “적당한 굽이 있고 바닥이 부드러운 신발을 신으라고 권하며, 피로를 풀어 주기 위한 족욕과 발 스트레칭을 수시로 해 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하이힐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뒷굽이 지나치게 높은 구두는 체중을 앞으로 쏠리게 하므로 점점 발 앞쪽에 위치한 횡아치가 무너지게 된다. 평발을 가진 젊은 여성이 하이힐을 자주 신으면 발 앞꿈치 통증과 엄지발가락이 튀어나오는 외반증으로 고생하기도 한다. 박시복 한양대류마티스병원 관절재활의학과 교수는 “어쩔 수 없이 하이힐을 신을 때는 자주 구두를 벗고 발가락을 벌리는 운동을 해 줘야 한다”며 “가능하면 운동화나 앞이 둥근 구두를 권한다”고 충고했다. 발이 변형된 다음 원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앞이 뾰족하거나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는 일은 금해야 한다고 의료진들은 말한다.
2022-09-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