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갖 감정의 끝, 그 찰나의 순간

온갖 감정의 끝, 그 찰나의 순간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05-14 04:02
수정 2024-05-14 0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렉스 프레거 ‘웨스턴 메카닉스’展

이미지 확대
‘웨스턴 메카닉스’(2024)
‘웨스턴 메카닉스’(2024)
산을 배경으로 앞발을 높게 하늘로 치든 말, 그 속에 키스를 나누는 남녀, 기절하거나 절규하며 엉켜 있는 사람들. 혼란하지만 치밀하게 구성된 삼각 프레임은 테오도르 제리코의 ‘메두사호의 뗏목’이나 외젠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처럼 모순적인 안정감을 준다.

알렉스 프레거(45)가 세상의 ‘불협화음’에 우리의 감정 고리가 얽히는 순간에 집중한 신작 사진들로 돌아왔다. 서울 용산구 리만머핀에서 열리는 ‘웨스턴 메카닉스’전을 통해서다.

영화, 사진, 조각을 넘나들며 전방위적 작업을 수행해 온 프레거는 이번 전시 역시 작가의 첫 장편 영화인 ‘드림퀼’ 제작과 병행해 기획했다. 그 이유로 영화 제작 기술과 효과가 느껴지는 작품들이 상당하다. 마치 연극이나 영화 한 장면처럼 프레거는 고도의 감정적인 순간을 연출한다. 화면에 일상적인 사물을 병치하고 거기에 유머와 알레고리를 더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복잡하고 어두운 주제에 접근한다.

전시 제목과 동일한 작품 ‘웨스턴 메카닉스’(2024)는 여러 인체가 얽힌 역동적 구도로 한 폭의 고전 역사화를 연상시킨다. 군상 뒤에는 성조기, 지구본, 카우보이, 여성 속옷 등 일상적이면서도 상징적인 사물을 구도 전반에 분산시킴으로써 친숙한 시각 언어에 극적인 장면을 주입한다.

또 다른 작품인 ‘페이퍼 스트리트’(2023)에서는 20세기 후반의 평범한 라스베이거스 거리를 걷고 있는 남녀를 보여 준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로봇과 같은 생명체가 숨어 있고 거리의 간판은 알파벳이 거꾸로 쓰여 있다. 프로이트가 말한 ‘언캐니’(낯익은 두려움)를 통해 관람객은 어딘가 모르게 기이한 풍경을 마주한다. 안유정 전시 코디네이터는 “다양한 현상의 임계점을 모색하는 크레거의 작업은 이성과 논리, 선형적 구조와 질서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우리 현대 사회와 닮아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전시에 작가가 오랜 관심사인 인간의 감정에 집중한 만큼 선형적 서사를 기대하기보다 감정의 힘에 기대 보는 것을 추천한다. 오는 6월 22일까지.
2024-05-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