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포도뮤지엄 두 번째 기획전
미디어 아티스트 정연두의 작품
하와이로 떠난 어린 신부들 묘사
우고 론디노네의 ‘고독한 단어들’
외딴섬 같은 현대인의 모습 표현
제주 포도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는 세상의 모든 소수자를 보듬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사진은 정연두 작가의 설치 작품 ‘사진 신부’.
포도뮤지엄 제공
포도뮤지엄 제공
지난해 4월 제주 서귀포시에 개관한 다목적 문화공간 포도뮤지엄이 두 번째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를 내년 7월 3일까지 1년간 개최한다. 김희영 총괄 디렉터가 기획한 이번 전시 주제는 디아스포라와 세상의 모든 마이너리티다. 김 디렉터는 “여러 이유로 지리적, 정서적 영토를 떠나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존재에 주목하고, 이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세상에 대해 너른 시선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그중 미디어 아티스트인 정 작가의 ‘사진 신부’는 20세기 초 하와이로 이주한 조선 노동자들과 중매결혼하려고 고국을 떠난 어린 신부들의 아픈 역사를 재현한다. 소녀들은 가난과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진 한 장에 의지해 새로운 땅을 밟았지만 만리타국에서 마주한 건 광활한 사탕수수밭과 혹독한 노동이었다. 작가는 100년 전 이들의 지난한 노동과 인생의 궤적을 따라가기 위해 제주에서 직접 사탕수수를 키우고, 당시 사진 신부와 또래였을 제주 애월고 학생들과 워크숍을 진행해 28분짜리 영상을 만들었다. 온실 옆에는 작가가 사진 신부들의 초상을 본떠 만든 설탕 공예 조형물도 있다. 단단하고도 연약한 모습은 이들이 견뎌 내야 했던 낯선 땅에서의 외로움을 보여 준다.
부부이자 듀오 아티스트인 알프레도와 이자벨 아퀼리잔의 작품 ‘주소’는 택배 상자 140개를 쌓아 올려 만든 것이다.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50㎝인 정육면체 박스는 어린아이도 들 수 있을 만한 크기인데, 필리핀 우체국에서 해외로 물건을 보낼 때 세금이 붙지 않는 규격이라고 한다. 옷가지, 신발, 인형부터 책, 라디오, DVD 플레이어, 스피커까지 각종 물건이 든 박스에선 삶이 송두리째 바뀌었을 이주 노동자들의 애환과 일상의 고단함이 묻어난다.
우고 론디노네의 ‘고독한 단어들’.
난민, 이주민 등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려진 이들의 면면을 제대로 살피면 결국 이 시대 우리 모두는 누구든, 어떤 방식이든 소수자일 수밖에 없다는 전시 주제가 더욱 묵직하게 다가온다.
2022-07-1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