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링겐주 총리 선출 ‘극우 반란’ 타격
기민당 대표, 총리 후보 불출마 선언메르켈 리더십 위기… “EU 중심 흔들”

베를린 AFP 연합뉴스

앙겔라 메르켈(오른쪽) 독일 총리와 그의 후임으로 거론되다 차기 총리 불출마를 선언한 아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워 기독민주당 대표가 10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열린 당 지도부 회의에서 만나고 있다.
베를린 AFP 연합뉴스
베를린 AFP 연합뉴스
독일 dpa통신 등은 크람프카렌바워 대표가 10일(현지시간) 차기 총리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2018년 12월 당 대표직에 오른 크람프카렌바워는 메르켈 총리의 대표적인 측근으로 꼽혀 온 인사다. 총리 후계자로 사실상 낙점되며 메르켈의 순조로운 권력 이양이 예상됐었다.
하지만 최근 튀링겐주 총리 선출 과정에서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자유민주당 소속 토마스 켐메리히 후보를 지지했고, 여기에 기민당 주의원들까지 가세하며 크람프카렌바워 대표는 리더십에 큰 타격을 받았다. AfD와 같은 극우 정당과는 손잡지 않는다는 주류 정당들의 암묵적인 룰이 깨진 것으로, “여당이 파시스트와 동침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등 국민 여론도 악화됐다.
크람프카렌바워의 불출마로 차기 총리 경쟁 구도는 다시 요동치게 됐지만, 그 이면에 메르켈 총리와 기민당의 리더십 위기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dpa통신이 여론조사업체 유고브에 의뢰한 7~8일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 시민의 48%는 향후 10년 안에 AfD가 주정부나 연방정부에 참여할 것이라고 답하는 등 독일 주류 정치에 대한 불신이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기민당의 낮은 지지율은 전후 독일을 지배했던 주류 정당의 불안정함을 반영하고 있다”면서 “이들은 AfD와 같은 극우 정당과 녹색당으로 대표되는 진보 정당 사이에 끼어 있고, 젊은층에게는 외면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일각에서는 프랑스와 함께 유럽연합(EU)을 이끄는 양대 강국인 독일의 정치적 불안이 지역 정세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한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미국의 신고립주의 등 난제들이 놓인 가운데 이 같은 독일 내 혼란이 EU 전체를 흔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AP통신은 “브렉시트와 극우파의 압력으로 유럽의 중심을 잡는 ‘닻’ 역할을 했던 독일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FT는 차기 독일 총리 후보군으로 프리드리히 메르츠 전 원내대표와 옌스 슈판 보건부 장관, 아르민 라스케 노트르라인베스트팔렌주 총리 등을 꼽았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2-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