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완전히 새됐어” 청년들 ‘기이한 포즈’에 난리 난 中…이유는

“나 완전히 새됐어” 청년들 ‘기이한 포즈’에 난리 난 中…이유는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8-03 23:57
수정 2024-08-04 09: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국 대학생들이 새 흉내를 내는 모습을 찍어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유행이 퍼지고 있다. 한 대학생(왼쪽)은 “눈 깜짝할 사이에 어떻게 벌써 11주가 됐냐? 공부 안해, 새나 되자!”라는 글과 함께 새 흉내를 낸 사진을 SNS에 올렸다. 더우인(중국의 틱톡) 캡처
중국 대학생들이 새 흉내를 내는 모습을 찍어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유행이 퍼지고 있다. 한 대학생(왼쪽)은 “눈 깜짝할 사이에 어떻게 벌써 11주가 됐냐? 공부 안해, 새나 되자!”라는 글과 함께 새 흉내를 낸 사진을 SNS에 올렸다. 더우인(중국의 틱톡) 캡처
중국 대학생들 중심으로 새 흉내를 내는 사진이나 영상을 찍어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는 유행이 퍼지고 있다. 중국 경제의 성장이 둔화하며 청년층의 미래 불확실성이 커지자 나타난 ‘탕핑’(躺平) 풍조의 연장선상으로 해석된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중국 내 대학생들 사이에서 이런 ‘새 흉내’ 유행이 퍼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SNS에 올린 영상 속에서 학생들은 반소매 티셔츠 안에 다리를 숨기고 두 팔은 티셔츠 소매가 아닌 아래로 빼 침대 난간을 잡아 마치 새 발톱처럼 보인다.

중국 상하이에서 대학에 다니는 왕웨이한(20)은 최근 기숙사 방에서 새를 흉내 낸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더우인(중국의 틱톡)에 올렸다. 생물학 전공 대학생 자오웨이샹(22)도 새 흉내를 낸 자신이 전봇대 위에 앉아 있는 것처럼 합성한 사진을 공유하며 “공부는 그만하고 새가 되자”라는 문구를 적었다. 일부 게시물은 10만여개 ‘좋아요’를 받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NYT는 주로 대학생들이 학업이나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이런 사진과 영상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자오웨이샹은 “새의 자유로움이 부러웠고 그걸 따라 해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왕웨이한(20)도 “새는 자유롭게 정처 없이 하늘을 날 수 있다”며 “(새 흉내 유행은) 자유를 향한 모든 사람의 타고난 욕망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사회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탕핑’ 풍조의 연장선상으로 해석한다. ‘탕핑’은 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하고 빈부 격차가 확대되면서 청년층의 미래 불확실성이 커지자 2021년쯤부터 등장한 신조어다. 과도한 경쟁을 치르며 열심히 살아오던 기존의 삶의 방식을 내려놓고 여유를 즐기고 싶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샹바오 독일 막스플랑크사회인류학연구소 소장은 “중국 청년들은 스스로와 중국, 전 세계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던 세대지만, 대학을 졸업하고 어른이 되면서 경기 둔화의 피해자가 됐다”면서 “이들이 ‘내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열심히 공부했는가’라고 묻기 시작했다”고 현상을 진단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