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새로 발급받았더니 성별 ‘남성’”…충격 받은 톱 여배우

“여권 새로 발급받았더니 성별 ‘남성’”…충격 받은 톱 여배우

이보희 기자
입력 2025-02-25 00:34
수정 2025-02-25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유명 트랜스젠더 여배우, 트럼프 행정명령 이후 여권에 ‘M’ 표기

이미지 확대
헌터 셰이퍼 SNS 캡처
헌터 셰이퍼 SNS 캡처


할리우드에서 가장 유명한 트랜스젠더 중 한 명인 모델 겸 배우 헌터 셰이퍼(27)가 바꾼 성별인 여성 대신 남성으로 표기된 새 여권을 받게 됐다.

21일(현지시간) 셰이퍼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틱톡에 8분 34초 분량의 영상을 올렸다.

이 영상에서 셰이퍼는 지난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기존 여권을 도난 당해 새 여권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셰이퍼는 “로스앤젤레스(LA)에 있는 국무부 영사사업국을 방문했다”며 “이전에도 여권 갱신 신청을 해본 적 있다. 절차는 같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평소처럼 신청서를 작성하고 성별을 ‘여성’으로 기재했는데, 막상 새 여권을 펼쳐보니 성별이 ‘남성’으로 바뀌어 있더라”며 성별란에 ‘M(Male·남성)’이라고 적힌 여권을 펼쳐보였다.

이에 관해 셰이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발표한 행정명령으로 인해 성별이 여성으로 표기된 여권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미국엔 남성과 여성, 두 성별만 존재…제3의 성 없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2.5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2.5 로이터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생물학적 성을 우선으로 하겠다는 취지로 ‘젠더 이데올로기와 극단주의로부터의 여성 보호 및 연방정부의 생물학적 진실 복원’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미국 정부 기관이 출생 시 지정된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성별만 인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지 매체들은 “이에 따라 여권을 발급할 때 남성(M)과 여성(F) 외에 제3의 성으로 ‘X’를 표기할 수 있었던 절차가 폐기됐다. 또 출생증명서와 신분 증명서가 일치하지 않는 트랜스젠더의 성별 수정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보도했다.

셰이퍼는 “이런 일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지도 못해서 큰 충격을 받았다”면서 이러한 영상을 올리는 이유에 대해 “불안·공포심을 조장하거나 과장하거나 위로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저 현실이 어떤지 알리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는 “여권에 ‘M’을 찍는 건 상관없다. 실제로 트랜스젠더로서의 내 정체성을 바꾸진 못하기 때문”이라면서도 “그러나 삶이 조금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다음 주 새 여권을 들고 출국한다는 셰이퍼는 “내가 원하거나 필요해서 밝히는 것보다 훨씬 자주 국경 관리 직원들에게 저가 트랜스젠더임을 드러내야 할 일이 생길 것 같다”며 걱정했다.

그는 “트랜스젠더들은 아름다운 존재다. 저는 평생 트랜스젠더로 살아갈 거고, 우리는 절대 사라지지 않을 거다. 글자 하나, 여권 하나가 그 사실을 바꿀 순 없다”며 영상을 마무리 했다.

모델로 활동하다 미국 HBO의 인기 시리즈 ‘유포리아’에 출연하며 배우로 이름을 널리 알린 셰이퍼는 2021년 미국 ‘타임’이 선정한 ‘차세대 유망주 100인(TIME 100 Next)’에 뽑히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헌터 셰이퍼 SNS 캡처
헌터 셰이퍼 SNS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