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나비도 피한다는 악취 ‘시체꽃’ 냄새 맡아 보니…

[World 특파원 블로그] 나비도 피한다는 악취 ‘시체꽃’ 냄새 맡아 보니…

입력 2013-07-25 00:00
수정 2013-07-25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식물원서 6년만에 꽃 피워 “구역질 나 밥도 못 먹을 정도”

“냄새가 나나요?”

“글쎄요.”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에 핀 일명 ‘시체꽃’을 보기 위해 관람객들이 몰려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에 핀 일명 ‘시체꽃’을 보기 위해 관람객들이 몰려 있다.


23일 오후 2시쯤(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연방식물원’ 온실. 어른 키 두 배만 한 특이한 모양의 식물에 수십명의 관람객이 몰려 코를 가까이 들이대고 냄새를 맡고 있었다. 향기는커녕 시체 썩는 냄새를 풍긴다고 해서 ‘시체꽃’이라고 불리는 ‘타이탄 아룸’이었다. 가지에서 열리지 않는 꽃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인 시체꽃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고유종으로 전 세계에 100여 송이만 있는 희귀종이다.

매년 꽃이 피는 게 아니라 길게는 수십년 만에 꽃을 피우며, 지독한 냄새 때문에 나비가 아닌 송장벌레나 쇠똥구리가 수분(受粉)을 한다고 한다.

미국 언론은 이 식물원의 시체꽃이 씨를 뿌린 지 6년 만인 지난 21일 저녁 꽃을 피워 악취가 진동한다고 호들갑을 떨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식물원 큐레이터 빌 맥로린은 “구역질이 나서 21일 밤 11시까지 저녁식사를 할 수 없었다”면서 “냄새를 형언하기 힘들다”고 했다.

하지만 이날 기자가 구토를 각오하고 직접 코를 들이대 봤는데, 웬걸 아무런 냄새가 나지 않았다. 옆에서 함께 킁킁거리던 관람객들의 반응은 “냄새가 안 나 아쉽다”와 “냄새가 안 나 다행이다”로 갈렸다. 시체꽃은 개화 후 24~48시간 만에 급속히 시들고 냄새도 잦아든다고는 하지만, 그토록 지독하다는 냄새가 그렇게 말끔히 사라졌다는 게 믿기지 않았다. 얼핏 식물원 측의 과장된 ‘홍보’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고개를 들었다.

실제 식물원 측은 입구에서 관람객에게 이번에 꽃을 피운 시체꽃을 상세히 소개하는 팸플릿을 그새 만들어 무료로 나눠 주고 있었다. 또 식물원 홈페이지는 시체꽃의 모습을 동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식물원의 문 닫는 시간도 평소보다 3시간 연장했다. 입장료가 무료이긴 하지만 한 명이라도 많은 손님을 끌어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공공기관의 노력 내지 서비스 정신으로 볼 수 있을까.

글 사진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7-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