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이루는 길목에 놓인 ‘당근’은 장애물
‘경험과 활동’ 그 자체에서 의미 찾아야
그래야 ‘조너선’처럼 더 멀리 날 수 있어
이건호 에이빅파트너스 대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어린 시절부터 장기적 보상보다 단기적 보상을 추구하게끔 프로그래밍된다. 학창 시절에는 100점을 받고 싶어서 시험 때가 되면 열심히 공부한다. 100점은 못 맞아도 우수한 성적을 받으면 선생님한테 칭찬받고 부모에게 상도 받지만, 정작 시험지를 받고 나면 틀린 문제를 좀처럼 검토하지 않는다. 그래 봤자 단기적으로는 어떤 보상도 따르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수업 진도는 계속 나가고 다음 시험이 다가 온다. 이번에도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 시험에 나올 것만 선별적으로 공부한다. 결국 ‘칭찬과 상’이라는 단기적인 보상이 ‘본질적 실력 향상’이라는 장기적인 보상을 방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직장에서도 비슷하다. 다만 직장에서는 ‘칭찬과 상’이 직급과 인정, 봉급 인상이나 보너스 지급 등으로 대체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본질적인 ‘꿈’을 끈기 있게 추구하려면 ‘눈앞의 당근’이 주는 유혹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험과 활동’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진정한 보상은 외부에서 주어진 당근이 아니라 자신의 꿈을 추구하는 활동 그 자체가 돼야 한다는 의미다.
이를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인 칙센트 미하이 박사는 ‘자기 목적적 활동’이라고 명명했다. ‘자기 목적적 활동’이란 그 자체를 통해 의미와 보람을 느끼는 활동을 말한다. 4차 산업시대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나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 같은 경영인들이 ‘자기 목적적 활동’에 몰입해 꿈을 달성한 좋은 사례다.
머스크는 최근까지도 테슬라 공장 바닥에서 숙식을 하며 엔지니어 업무 그 자체를 즐겼다. 베이조스 또한 어린 시절부터 한 번 과제에 빠져들면 마치 외부 세계와 단절된 듯이 과제 자체에 몰입하는 성격의 소유자였다.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도 눈앞에 보이는 ‘투자’라는 당근을 얻기 위해 사업을 추진하는 창업자도 있고, 사업의 본질인 세상에 이로운 ‘가치 창조’라는 비전을 추구하면서 사업을 하는 창업자도 있다.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장기적으로 이들이 가는 길은 사뭇 다르다. 필요한 투자를 받아 가면서 사업을 원래의 비전대로 성장시켜 나가는 사례도 있지만, 많은 경우 사업의 본질적 비전을 망각하고 투자를 잘 받기 위한 방식, 혹은 투자자들의 관심 사항에만 매달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정신없이 달려왔으나 시간이 지나 보면 어디를 향해 달려온 것인지 알 수 없는 혼란을 겪게 된다. 물론 눈앞의 당근을 외면하고 비전을 추구하다 보면 당장 실익도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남들에게는 어리석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새(鳥)들이 항구에 버려진 음식 찌꺼기를 차지하려고 경쟁하는 동안 얼마나 높이 날 수 있는가에 도전하기 위해 비행 연습에 몰두했던 리처드 버크 소설의 갈매기 조너선처럼 수평선 너머 새로운 세계로 가기 위해서는 항구에 널려 있는 ‘당근’에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더 높이, 더 멀리’ 날아오를 수 있다.
2023-10-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