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고고학과 발굴/황규호 ‘한국의 고고학’ 상임편집위원

[열린세상] 고고학과 발굴/황규호 ‘한국의 고고학’ 상임편집위원

입력 2007-03-16 00:00
수정 2007-03-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고학은 이미 멀리 지나간 시대를 살았던 인류가 남긴 여러가지 흔적을 찾아 그때 사람들의 문화와 삶을 밝히는 학문이다. 고대(古代)와 학문이라는 두 낱말을 합성한 고고학(archaeology)은 본래 서양의 학문이지만, 옛것을 생각한다는 뜻은 동서양에 차이가 없다.

어딘가에 묻힌 무엇을 들추어야 하기 때문에 고고학에는 발굴이 뒤따르게 마련이다. 땅을 파서 유물을 찾는 고고학의 발굴은 19세기에 들어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유물을 건져 학문의 틀에 제대로 꿰맞추기까지는 난센스가 한때 판을 쳤던 모양이다. 그 대표적 케이스가 ‘필트다운 사람’이다.19세기 진화론에 영향을 받은 아마추어 고고학자 찰스 도슨이 1910년대 영국의 작은 마을 필트다운에서 찾은 현대인 머리뼈에 유인원 턱뼈를 맞추어 고인류 화석으로 꾸민 사건이었다.

이같은 조작 사건은 21세기에도 계속되었다.2000년 11월 일본 도호쿠구석기연구소 후지무라 신이치 부이사장이 발굴한 미야기(宮城)현의 구석기 유적이 그것이다. 한 언론사의 추적으로 꼬리가 잡힌 후지무라의 유적 조작은 자연과학을 비롯한 여러 인접학문의 부축으로 고고학 발굴이 제자리를 잡은 이 시대에 일어난 희대의 사건이어서, 가히 충격적이었다.

난센스라는 말을 따지면, 이치에 어긋나는 비리(非理)와도 맞물린다. 그런데 최근 한 법인체 발굴기관의 책임자인 고고학자 교수가 발굴비와 관련한 비리에 휘말려 구속되었다는 기사가 언론에 보도되었다. 난센스치고는 좀 곤혹스러운 이 비리 말고도 다른 누구는 검찰에 발목이 잡혔고, 어떤 이는 내사를 받는다는 둥 온갖 소문이 돌아 고고학계가 뒤숭숭하다.

그가 구속으로까지 내몰린 발굴현장은 지방도시의 아파트 건립 예정지였다고 한다. 그러나 문화재 보존지역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때 건설업자가 서두른 고발이 구속의 빌미가 되었다는 것이다. 어떻든 개발과 보존의 틈새에 끼어 고고학자가 구속에 이른 것은 분명하다. 이를 두고 문화재청 관계자가 언론에 흘렸다는 멘트를 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다.“고고학자가 아니라, 발굴업자가 아닌가 생각될 때도 있다.”는 말은 무책임하다. 대학에서 고고학을 전공한 고학력의 발굴요원들이 주렁주렁한 식솔을 거느리고 살게 보살펴야 하는 발굴기관 책임자의 딱한 처지도 생각하기를 바란다.

몇년 전에 남프랑스 니스의 테라 아마타 유적을 찾은 적이 있다. 혹스니안기(期)에 호모 사피엔스라는 인류가 살았던 이 구석기 유적은 아파트단지에 자리했다. 아파트가 완공되었을 때 니스시가 1∼2층을 사들여 불을 지폈던 화덕과 더불어 발자국 화석, 배설물로 나온 똥이 화석으로 변한 흔적 따위를 아파트로 끌어들였다. 그리고 아파트 뒤쪽 절개지 축대에는 집자리 퇴적층을 남겨놓고, 철문을 닫았다.

현대사회에서 문화유적은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늘 갈등을 겪는다. 그런 틈바구니에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유적을 지혜롭게 보존한 모범사례가 테라 아마타다. 이 유적이 세상에 알려진 데는 ‘니스의 아침’을 뜻하는 지역신문 ‘니스 마탱’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지역신문에서 유적을 다루었을 무렵 테라 아마타에서는 터파기 공사가 한창이었다는 것이다. 유적이 노출되면서, 보존을 둘러싼 논란도 일었다. 이때 아파트 공사를 맡은 건축업자는 공교롭게도 유적의 실체를 처음 보도한 ‘니스 마탱’ 기자의 아들이었다는 기묘한 사연도 간직하고 있다.

니스에 머무는 동안 테라 아마타에서 멀지 않은 나자레 유적에 들렀을 때 새떼처럼 조잘거리면서 고사리손으로 유물 부스러기를 고르는 초등학생 봉사활동 그룹을 만났다. 그 옆에는 니스시가 주는 품삯을 받고, 발굴현장에서 일하는 파란 눈의 아주머니들도 보였다. 문화대국의 문화정책을 실감했던 니스의 정경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황규호 ‘한국의 고고학’ 상임편집위원
2007-03-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