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나였던 그 아이/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나였던 그 아이/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2-09-28 20:32
수정 2022-09-29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 속에 있나 아님 사라졌나

나 그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 또

그는 날 사랑하지 않았단 걸 알까

왜 우린 헤어지기 위해 자라는데

그렇게나 많은 시간을 썼을까?

―파블로 네루다, ‘질문의 책, 44’ 중

서랍 정리를 하다 20년 전에 쓰던 수첩을 마주한다. 정갈한 손 글씨로 그날그날 일정과 다짐, 시 구절을 빼곡하게 적어 놓았다. 옛 기억을 헤집는 일에 마음 빼앗겨 찬찬히 읽어 보다 문득 궁금해진다.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로 갔나? 나란 사람이 성장해 온 걸까, 퇴보한 것일까, 아니면 여전히 맴을 돌듯 제자리인가?

질문하는 형식으로 엮은 네루다의 시집은 머리맡에 두고 자주 읽는 편이다. 시 속의 화자가 지금의 나보다 나이를 더 먹었는지, 시인이 돌아보는 아이가 수첩 속의 나보다 더 어린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 시의 질문들은 그 자체로 답이다. “왜 우린 헤어지기 위해 자라는데/그렇게나 많은 시간을 썼을까?” 여기서 ‘헤어지기 위해’의 목적어가 분명하지 않다. 우리가 헤어지는 대상은 내가 사랑했던 그 혹은 그녀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게 아니라 내가 될 수도 있다. 어제의 나와 작별하고 오늘을 시작하고, 오늘의 나와 작별한 내가 내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명쾌하고 상쾌한 깨달음이라니. 시는 이렇게 끝난다. “내 어린 시절이 죽었는데/왜 우리는 둘 다 죽지 않았을까?//내 영혼은 떨어져 나가는데 내 해골은 왜 나를 좇고 있지?” 어린 시절은 갔지만 나도, 내 사랑도 죽지 않고 어디선가 각자 살아 있는 자명한 현실. 영혼이 떨어져 나간 해골에 좇기는 신세가 되었어도 그다지 아프지는 않다. 나는 어제의 나와 작별하고 다시 태어났으니. 내일의 나는 더 가볍고 새로워질 것이니.

네루다의 시와 옛 수첩의 글귀들을 함께 읽는 오늘은 어제와 얼마나 다른지. “일은 완벽하게 끝을 보려 하지 말고/세력은 끝까지 의지하지 말고/말은 끝까지 다하지 말고/복은 끝까지 다 누리지 말라” ‘공여일록’의 글과 기도 말씀과 일정과 다짐이 빼곡히 적힌 옛 수첩의 노릿한 종이를 다시 본다. 이 글들은 여전히 오늘의 내게도 머문다. 어떤 작별도 완벽하지는 않고 늘 도돌이표로 돌아가는 우리이기에 시인의 시선에 기대어 나는 중얼거린다. 어제와 헤어지는 나, 제법 괜찮다고. 당신과 헤어지는 게 아니고 내가 나와 헤어지는 거라고. 나였던 그 아이도, 당신이었던 당신도 이젠 찾지 않을 거라고.

이젠 수첩 대신 클라우드(하늘 위 구름이 아닌 컴퓨터 저장장치)가 나의 계획과 다짐과 기억과 흔적과 이별을 대신하고 있다.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나는 그대로 휘발되는 것도 같다. 하지만 그마저 무심해질 수 있는 별리의 자유를 얻었으니 괜찮다. 올가을, 나는 나였던 그 아이를 많이 지웠다. 홀가분하다.
2022-09-2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학생들 휴대폰의 도청앱 설치 여러분의 생각은?
지난 달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사가 김하늘(8)양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한 데 이어 정신질환을 가진 교사가 3세 아들을 살해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건이 알려지면서 학부모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개학을 앞두고 불안한 학부모들은 아이의 휴대전화에 도청앱까지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이 도청앱의 오남용으로 인한 교권침해 등을 우려하고 있다. 학생들의 휴대폰에 도청앱을 설치하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오남용이 우려된다.
안전을 위한 설치는 불가피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