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78년에 고리 1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으니 원자력발전을 한 지 거의 반세기가 됐다. 원자력발전의 성장과 비례해 경제 규모도 커졌다. 원자력이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기초를 제공한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국민이 원자력발전과 방사선에 대해 잘못 알고 오해하고 있다. 여기 원자력발전과 방사선에 대한 이해를 돕는 좋은 앱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왜곡된 정보에 매몰돼 있는 반핵무기가 아닌 반원전을 부르짖는 사람들이 특히 참고해야 한다.
첫 번째가 ‘eRAD@NOW, 실시간 환경방사능정보’ 앱이다. 이 앱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마련한 국가환경방사능자동감시망을 담은 것으로, 우리나라 육지와 도서, 원근해 238개 지역의 환경방사능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보여 준다. 전국 방사선준위, 지역별, 연도별 방사선준위 등도 볼 수 있다. 내가 사는 지역의 방사선준위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방사선 선량률에 대한 정보를 시간, 일, 월, 연 단위로 계산해 주기도 한다. 또한 방사선에 대한 기초 지식과 인체 영향 등 환경방사선에 대한 바른 지식을 제공한다. 원자력발전소 등 원자력 이용 시설이 있는 지역에는 방사선 감시기가 여러 개 설치돼 있다.
방사선은 우주가 생겨날 때부터 존재했고, 우주에서도 날아오는 등 세상 모든 것에서 방사선이 나온다. 사람도 몸무게 1㎏당 대략 1초에 100개의 방사선이 나오는데, 몸무게가 70㎏이면 방사선이 1초에 7000개가 나오는 셈이다. 우리의 살아가는 일상의 환경에 늘 방사선이 존재하고 있다. 방사선에 대한 바른 지식이 방사선에 대한 공포를 없앨 수 있다.
이 앱은 방사선 비상 발령 시 경보 종류에 따른 국민행동요령도 제시하고 있다. 원자력 이용 시설에서 방사선이 누출되면 즉시 자동 감시망의 이상 경보를 통해 사고 유무를 알 수 있고 비상 대응을 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방사능 준위가 서울이나 내륙 지역보다 매우 낮아 서울에 사는 사람의 피폭량이 더 큰데, 그 이유는 독자가 알아보기를 바란다.
두 번째는 ‘Elelctricity Map’이라는 앱이다. 이 앱은 세계지도로 전 국가의 전력 생산에 따른 탄소밀집도를 실시간으로 보여 준다. 탄소밀집도는 전력생산당(kWh당) 탄소가 얼마나 생산되는지(gCO2eq)를 보여 주는 수치로 이 값이 클수록 탄소 배출이 많은 것이다. 탄소밀집도에 따라 국가가 색깔로 표시되는데 탄소밀집도가 낮으면 녹색으로, 높아질수록 황색에서 갈색,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나라별로 발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과 탄소배출량도 알 수 있다. 북한과 중국, 아프리카 여러 나라 등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회색으로 표시된다. 탈원전을 한 독일과 이탈리아가 황색인 반면 원전 비중이 70%가 넘는 프랑스는 녹색이다. 특히 프랑스의 탄소밀집도가 독일의 10분의1 정도인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수단은 에너지다. 국가는 국민에게 이를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책무가 있다. 국가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에너지원을 선택해 최적의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여기에는 이념이나 선악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며 오직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할 뿐이다. 이 앱들이 원자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
첫 번째가 ‘eRAD@NOW, 실시간 환경방사능정보’ 앱이다. 이 앱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마련한 국가환경방사능자동감시망을 담은 것으로, 우리나라 육지와 도서, 원근해 238개 지역의 환경방사능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보여 준다. 전국 방사선준위, 지역별, 연도별 방사선준위 등도 볼 수 있다. 내가 사는 지역의 방사선준위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방사선 선량률에 대한 정보를 시간, 일, 월, 연 단위로 계산해 주기도 한다. 또한 방사선에 대한 기초 지식과 인체 영향 등 환경방사선에 대한 바른 지식을 제공한다. 원자력발전소 등 원자력 이용 시설이 있는 지역에는 방사선 감시기가 여러 개 설치돼 있다.
방사선은 우주가 생겨날 때부터 존재했고, 우주에서도 날아오는 등 세상 모든 것에서 방사선이 나온다. 사람도 몸무게 1㎏당 대략 1초에 100개의 방사선이 나오는데, 몸무게가 70㎏이면 방사선이 1초에 7000개가 나오는 셈이다. 우리의 살아가는 일상의 환경에 늘 방사선이 존재하고 있다. 방사선에 대한 바른 지식이 방사선에 대한 공포를 없앨 수 있다.
이 앱은 방사선 비상 발령 시 경보 종류에 따른 국민행동요령도 제시하고 있다. 원자력 이용 시설에서 방사선이 누출되면 즉시 자동 감시망의 이상 경보를 통해 사고 유무를 알 수 있고 비상 대응을 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방사능 준위가 서울이나 내륙 지역보다 매우 낮아 서울에 사는 사람의 피폭량이 더 큰데, 그 이유는 독자가 알아보기를 바란다.
두 번째는 ‘Elelctricity Map’이라는 앱이다. 이 앱은 세계지도로 전 국가의 전력 생산에 따른 탄소밀집도를 실시간으로 보여 준다. 탄소밀집도는 전력생산당(kWh당) 탄소가 얼마나 생산되는지(gCO2eq)를 보여 주는 수치로 이 값이 클수록 탄소 배출이 많은 것이다. 탄소밀집도에 따라 국가가 색깔로 표시되는데 탄소밀집도가 낮으면 녹색으로, 높아질수록 황색에서 갈색, 검은색으로 표시된다.
나라별로 발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과 탄소배출량도 알 수 있다. 북한과 중국, 아프리카 여러 나라 등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회색으로 표시된다. 탈원전을 한 독일과 이탈리아가 황색인 반면 원전 비중이 70%가 넘는 프랑스는 녹색이다. 특히 프랑스의 탄소밀집도가 독일의 10분의1 정도인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근원적인 수단은 에너지다. 국가는 국민에게 이를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책무가 있다. 국가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에너지원을 선택해 최적의 에너지를 공급해야 한다. 여기에는 이념이나 선악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며 오직 미래지향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이 필요할 뿐이다. 이 앱들이 원자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
2024-05-06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