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통념 깬 대형 전기트럭 ‘질주’할까

머스크, 통념 깬 대형 전기트럭 ‘질주’할까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12-08 20:46
수정 2022-12-09 01: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테슬라 상용차 ‘세미’ 출시

자율주행 구현… 장거리 운전 도움
“트럭의 환경오염 문제 해결 역할”
적재 공간·충전 시간 등에선 회의

현대車 수소 트럭 국내 판매 시작
충전 시간 짧아 대형 상용차에 적합 
이미지 확대
테슬라의 대형 전기트럭 ‘세미’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테슬라 제공
테슬라의 대형 전기트럭 ‘세미’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테슬라 제공
“완전히 미래에서 온 것 같지요. 여러분 모두가 이 녀석을 운전해 보고 싶을 겁니다.”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에서 열린 대형 전기트럭 ‘세미’의 인도식.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상기된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 전동화와 자율주행이라는 ‘핵폭탄급’ 충격을 몰고 온 테슬라가 대형 상용차 시장에도 도전장을 내민 것에 업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머스크는 2017년 세미의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년 뒤 실물을 선보이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무거운 짐을 싣고 장거리를 오가는 대형트럭을 온전히 배터리로만 움직이게 하는 건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 일. 차일피일 늦춰지자 “테슬라가 프로젝트를 포기한 것 아니냐”는 풍문이 나돌기도 했다. 3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뜻을 이룬 머스크는 인도식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대형트럭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테슬라의 역할”이라고 했다.

기대를 높이는 부분은 전 세계 완성차 업체 중 가장 진보된 것으로 평가되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 ‘오토파일럿’을 대형트럭에서도 구현했다는 점이다. 장시간 운전으로 졸음운전 사고 등에 시달리는 화물트럭 운전자들에게는 희소식이다.

그럼에도 시장 반응은 신통찮다.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투자은행(IB) 웰스파고는 세미 공개 이후 테슬라의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했다. “세미 인도는 긍정적이지만, 화물 적재 공간, 충전 시간, 배터리 스펙 등 세부 사항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최근 공개한 동향 보고서에서 “예상과 달리 테슬라는 세미의 가격이나 생산계획 등 중요한 정보를 내놓지 않았다”면서 “특히 화물을 싣지 않은 세미의 중량도 차량의 효율성을 따질 중요한 요소인데, 이 역시 공개되지 않았다”고 짚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미의 제원은 주행거리(483~804㎞)와 최대 적재량(약 37t) 그리고 화물을 가득 싣고 정지한 상태에서 시속 60마일(약 96㎞)까지 20초가 걸리는 가속 성능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단정하긴 이르지만, 만약 세미가 성공한다면 공식처럼 여겨졌던 ‘승용은 전기차, 상용은 수소차’라는 업계 통념을 깨고 대형 상용 시장에서도 순수전기차가 활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지 확대
현대자동차의 대형 수소전기 트럭 ‘엑시언트 퓨얼셀’이 도로를 달리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의 대형 수소전기 트럭 ‘엑시언트 퓨얼셀’이 도로를 달리고 있다.
현대자동차 제공
일찌감치 수소전기차(FCEV)로 대형 상용차 전동화 방향을 잡은 현대자동차는 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만 출시했던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 퓨얼셀’을 8일부터 국내 시장에도 내놓는다. 수소연료전지가 배터리보다 훨씬 가벼워 더 긴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충전 시간도 짧아 장거리를 달려야 하는 대형 상용차에 더 적합하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엑시언트 퓨얼셀은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대형 수소전기트럭으로, 지난 10월 스위스에서 운행을 시작한 지 2년 만에 누적 주행거리 500만㎞를 달성하기도 했다. 현대차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지금까지 74대가 수출된 것으로 파악된다.
2022-12-09 2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