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중학교 3학년 대상 AI 코딩 교육·실습 진행 진로 고민·수험 경험 공유하는 멘토링 시간 가져
이미지 확대
‘KT 대학생 IT 서포터즈’ 구성원과 영흥중 3학년 학생들이 ‘찾아가는 AI 교육’ 종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KT 대학생 IT 서포터즈’ 구성원과 영흥중 3학년 학생들이 ‘찾아가는 AI 교육’ 종료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 제공
KT는 지난 7일 ‘KT 대학생 IT 서포터즈’(KIT)가 인천 옹진군 영흥중학교에서 2025년 첫 번째 ‘찾아가는 AI(인공지능) 교육’을 진행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KIT 봉사단원들은 영흥중 3학년 학생들에게 AI 코딩 플랫폼과 코딩 로봇으로 실습교육을 함께 하고, 올바른 AI 활용과 디지털 윤리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또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고등학교 진학 등 진로에 대한 고민을 들어주고, 수험생 경험을 공유하는 등 멘토링 시간도 가졌다.
KIT는 지역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KT가 운영하는 대학생 IT 봉사단이다. 특히 KT 임직원과 전문가의 코칭을 받으며 직접 AI 코딩 커리큘럼을 개발·실행하는 교육자 역할과 멘토 경험을 앞서 할 수 있는 성장주도형 봉사활동으로 대학생들의 관심이 높다.
KT는 앞서 지난해 KIT 봉사단원들과 함께 인천 옹진군 백령중학교와 전북 익산시 성당중학교에서 찾아가는 AI 교육을 진행했고, 올해는 영흥중학교를 시작으로 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오태성 KT ESG경영추진실장 상무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주역들이 KIT 대학생 멘토와의 만남을 통해 AI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성장을 위한 동기 부여의 기회가 되기 바란다”며 “KT는 다양한 계층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미래 디지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비즈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