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2.8만원 vs 비정규직 1.8만원… 시간당 임금 격차 2016년 이후 최대

정규직 2.8만원 vs 비정규직 1.8만원… 시간당 임금 격차 2016년 이후 최대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5-04-30 02:03
수정 2025-04-30 06: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동시장 이중구조 갈수록 심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2016년 이후 가장 많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6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 총액은 2만 7703원으로 1년 전보다 11.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비정규직은 1만 8404원으로 4.7% 늘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임금이 늘었지만 격차는 벌어졌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비율은 66.4%였다. 정규직이 100만원을 받을 때 비정규직은 66만 4000원을 받았다는 뜻이다. 전년(70.9%)보다 4.5% 포인트 하락했는데 2008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2020년 처음으로 70%를 돌파한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수준은 2023년까지 70%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 2016년(66.3%) 수준으로 후퇴했다.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도 커졌다. 300인 이상 사업장 대비 300인 미만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56.2%로 전년 대비 0.3% 포인트 감소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지난해 6월 근로일수가 전년보다 이틀 적었다. 정규직은 영향을 덜 받았지만 시급제가 많은 비정규직은 큰 영향을 받았다”면서 “두 자릿수 임금 인상률을 기록한 정규직과 비교해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 상승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석호 한국노동재단 상임이사는 “대기업이 임금을 가파르게 올리면 중소기업과 격차가 벌어져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할 수밖에 없다”면서 “초과 이윤이 발생하면 하청업체에 나누는 연대가 필요하고 규모가 큰 노동조합이 타협을 끌어낼 수 있도록 여론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4-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