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 통장 잔액이 100억?…‘금수저 계좌’ 이렇게 많았다

미성년 통장 잔액이 100억?…‘금수저 계좌’ 이렇게 많았다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5-02-24 13:19
수정 2025-02-24 13: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현금 이미지. 서울신문 DB
현금 이미지. 서울신문 DB


국내 주요 은행의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잔액이 4년 만에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억원 이상 보유한 고액 계좌가 1800개를 넘었으며, 100억원을 초과한 계좌도 있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미성년 예·적금 계좌(원화·외화 포함) 잔액은 7조809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7조4661억원)보다 3429억원(4.6%) 늘어난 수치이며, 2020년 말(6조4977억원)과 비교하면 1조3114억원(20.2%) 증가했다.

미성년자 계좌 중 잔액이 ‘1000만원 미만’인 계좌가 467만9248개(4조6592억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 15만3348개(2조4896억원)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3525개(2202억원)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1727개(2899억원) ▲‘5억원 이상’ 145개(1502억원) 등 1억원 넘는 계좌는 총 1872개로 집계됐다.

특히 5억원 이상 고액 예·적금 계좌는 2022년 136개에서 2023년 145개로 증가했으며, 잔액도 1348억원에서 1502억원으로 154억원(11.4%) 늘었다. 계좌당 평균 잔액은 10억원을 넘어섰으며, 일부 계좌는 100억원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자의 예·적금 계좌 수는 감소세를 보였다. 2020년 말 527만개였던 계좌 수는 2023년 말 498만개, 지난해 말 484만개로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계좌당 평균 잔액은 약 16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약 150만원)보다 7.6%, 2020년 말(약 123만원)보다는 30.9% 증가한 수치다.



고액 미성년 계좌 증가와 관련해 증여세 회피 가능성도 제기됐다. 진선미 의원은 “미성년자 계좌를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 금액 이상의 예·적금에 대한 증여세 신고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