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직원이 한돈을 진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돈농가, 한우 소비 지원 불만
이런 다채로운 행사에도 불구하고 한돈 농가들의 표정은 그다지 밝지 않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폭등한 사료값 여파로 한돈 농가의 적자 경영이 심화되고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고점 대비 국제 곡물 가격 하락으로 안정되고 있지만 민간 사료 업체들이 가격 인하 동참에 소극적인 실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수입산 축산물 할당관세로 전년 대비 돼지고기 수입이 40% 늘어난 점도 한돈 농가에는 부담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소값 폭락에 따른 한우 농가를 보호하기 위해 한우 소비 촉진 행사를 지원하면서 한돈 농가의 불만은 증폭됐다. 정부와 한우 농가의 수급 조절 정책 실패로 인해 생긴 문제인데 예산으로 특정 축산을 지원, 값을 낮추는 게 과연 전체 농축산업계 발전에 도움이 되느냐는 지적이다.
●정부 “한돈자조금에 매칭 지원 ”
한돈자조금과 대한한돈협회는 올해 평균 돼지 생산비가 ㎏당 5435원인데 설 이후 돼지값은 계속 하락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당 가격은 4000원대 초반으로 생산비보다 낮아 1~2월 손실액이 2000억원이 넘었다고 한돈협회 등은 주장했다. 지난달 13~17일 평균 가격 기준 마리당 약 10만원, 한 주간 406억원의 손실이 났다고 추정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한돈업계의 어려움도 이해하나 생산비 추정치가 과장된 측면이 있고 한우 농가는 평년보다 20% 정도 가격이 폭락해 농가 피해가 큰 상황”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한돈은 일시적 수급 불안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보이며 손실은 연간으로 따져 봐야 한다”면서 “정부는 한돈자조금에도 매칭(25%·52억원)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정된 예산 속에 위기 때마다 정부만 바라보게 만드는 구조는 ‘한우에 치인 한돈’과 같은 상황을 매번 되풀이할 수밖에 없다. 정부는 더 치밀한 정책으로, 농가는 진심 어린 자구 노력을 보여 줄 때 소비자의 마음도 움직일 것이다.
2023-03-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