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패스 가입, 한 달 만에 150만명 돌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역 공간 개조’ 국민 아이디어 공모… ‘서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기 ‘난임 시술비 지원’ 나이 제한 폐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옛 국군광주병원, 공원 되어 시민 품으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부산 30대·1인 가구 ‘전세사기’ 최다 피해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인 가구 79%·30대 56% 차지
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자 4%뿐

부산지역 전세 사기 피해자는 30대,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금액은 5000만원에서 1억원이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자가 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는 전세피해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달 17~30일 동안 전세사기 피해자와 지원센터 방문자 등 7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전세사기 피해자 79.2%가 1인 가구였으며, 연령대는 30대가 56.0%로 가장 많았다. 피해자 가구의 월 실소득은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이 50.3%로 가장 다수였다. 피해 보증금 규모는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49.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1억원 이상 1억 5000만원 미만 35.9%였다.

보증금 회수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자 78.0% ‘회수 못 할 것’이라고 답했다. 회수가 어려운 이유로는 임대인 파산, 경매 진행, 선순위 근저당 많음 등이 꼽혔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자는 4.0%에 그쳤는데 미가입 사유는 요건 미해당이 32.2%로 가장 많았고, 제도를 몰랐던 응답자도 19.5%나 됐다.

피해자 중 72.0%는 피해 주택에서 거주하는데 80.5%는 공용부나 세대 내 하자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계속 거주하는 이유는 ‘보증금 회수 후 이주’가 53.8%, ‘이주하면 전세대출을 상환해야 해서’ 42.4% 등이 꼽혔다. 피해자들은 추가 지원 대책으로 선구제 후회수, 대출금 20년 분할 상환, 이자 지원 확대 등을 꼽았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조치로는 처벌 강화, 반환보증 제도 개선 등을 제시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2024-05-22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