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카이스트 의사과학자 “암 환자 치료하며 과학의 중요성 느꼈죠”

카이스트 의사과학자 “암 환자 치료하며 과학의 중요성 느꼈죠”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03-06 02:25
업데이트 2023-03-06 07: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사과학자’ KAIST 차유진 교수

학부 입학 뒤 모교서 19년 만에
의료 AI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
“의학 한계 극복하려면 과학 필요
과학자 대우 열악… 처우 개선을”


이미지 확대
차유진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교수. KAIST 제공
차유진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교수. KAIST 제공
“암 환자를 치료하면서 연구의 중요성을 절실히 느꼈습니다. 다시 과학으로 돌아온 이유입니다.”

지난달 한국과학기술원(KA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차유진(38) KAIST 의과학연구센터 연구교수는 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의사과학자가 된 계기를 이렇게 밝혔다. 2004년 학부에 입학한 뒤 19년 만에 모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의사 출신 박사는 많지만 학교에 연구자로 남는 경우는 이례적”이라고 했다.

의사 면허를 소지한 연구자인 의사과학자는 국내에선 생소하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의사과학자는 약 1300명으로 전체 의사의 1.2%뿐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초과학과 임상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차 교수는 “미국에는 의사과학자들의 연구소도 있고 교직이 보장되는 경우도 많지만 국내에선 아직 소수다 보니 지원 체계도 부족한 편”이라고 했다.

차 교수는 학부에서 원자력과 양자공학을 전공한 공학도였다. 졸업 후 진로를 고민하던 그는 2009년 충남대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했다. 이후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암 환자들을 치료하는 보람도 있었지만 이미 구축된 지식을 적용하는 일에 한계를 느끼기도 했다.

그는 “골육종을 앓던 환아가 사망한 것이 결정적 계기였다”며 “의학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과학 기술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연구자가 되기로 마음먹었다”고 돌이켰다.

의사로서 안정적인 삶을 포기하고 2018년 바이오와 뇌공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한 뒤에는 의료 분야 인공지능(AI) 연구에 몰두했다. AI를 잘 활용하면 의사들도 높은 수준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고, 인간과 AI가 함께 진화할 수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차 교수는 “AI도 기초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며 “의료와 AI가 화학적 융합을 통해 공존하는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싶다”고 밝혔다.

쉽지 않은 길을 걸으며 느낀 점은 의사과학자에 대한 처우 개선과 진료 경험 등을 지원해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과학자로서 연구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발견하려면 현장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이공계 위기의 원인 중 하나는 과학자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대우를 받는 것”이라며 “사람을 살리는 의사뿐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과학자의 일도 숭고한 만큼 이들이 연구의 뜻을 이어 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예 기자
2023-03-0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