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언제 결혼할래” 잔소리, 결혼·출산에 역효과

“언제 결혼할래” 잔소리, 결혼·출산에 역효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3-02-22 14:15
업데이트 2023-02-22 1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웨딩홀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서울신문DB
웨딩홀 자료사진.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서울신문DB
“너 언제 결혼할거니” 명절 단골 잔소리인 결혼 독촉이 되레 청년들의 결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최슬기 교수는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1차 미래와 인구전략포럼에서 “대다수의 청년에게 결혼과 출산은 절대적 규범이 아닌 선택의 문제”라며 “정부가 나서서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고 계도하기보다는, 자녀를 갖는 것이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실질적 지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가 지난해 6월, 24∼49세 미혼 남녀 834명(남성 458명, 여성 3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의 가족 및 결혼 가치관 조사’에 따르면 부모·가족·지인으로부터 결혼하라는 독촉이나 권유를 받았을 때 ‘더 하기 싫어졌다’(26.6%)는 응답이 ‘빨리 해야겠다고 생각했다’(12.3%)는 응답보다 2배 이상 많았다. 61.0%는 ‘생각에 변화가 없었다’고 답했다.

‘이 정도 나이면 결혼해야 한다’라는 결혼 적령기 규정도 역효과를 냈다. 사회에서 정한 결혼 적령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해당 적령기를 넘긴 여성의 결혼 의향(48.4%)은 적령기 이전(64.7%)보다 낮아졌다. 남성의 결혼 의향은 적령기 전 69.8%, 적령기 후 71.7%로 별 차이가 없었다. 여성이 규범화된 결혼 적령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정도 나이에는 결혼을 해야겠다’라고 스스로 결혼 적령기를 정한 경우 적령기를 넘기더라도 결혼 의향이 유지됐다. 여성은 적령기 전 43.1%에서 적령기 후 56.3%, 남성은 70.5%에서 80.7%로 오히려 높아졌다. 사회적 규범과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결혼 시기를 설정한 이들이 결혼에도 더 적극적이었다.

2018년 이후 합계출산율은 1.0명 이하로 떨어졌지만, 미혼 응답자들이 답한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1.96명이었다. 최 교수는 “아이를 원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 때문에 원하는 만큼 출산을 하지 못하는 상태”라면서 “저출산 문제는 청년세대의 비명소리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발제자인 유민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스스로 어른이 됐다고 생각하는 ‘성인 인지 시기’가 늦어진 것이 결혼과 추산을 늦추는 요인이라고 봤다. 조사 결과 28세(1994년생)가 되어서야 ‘얼마나 자주 성인이 됐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절반 이상이 ‘자주 느낌’, ‘항상 느낌’이라고 답했다.

그는 “저출산 정책으로 개인의 인식을 변화시키려고 하기보다는 개인이 삶의 지향을 선택하고 실현해 안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자립 지원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