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19 이후 삶 만족도 떨어졌지만, 공동체 의식 높아져

코로나19 이후 삶 만족도 떨어졌지만, 공동체 의식 높아져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2-08-07 14:39
업데이트 2022-08-07 14: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민이 느끼는 삶 만족도는 떨어지고 우울감은 높아졌다. 그러나 동시에 위기 상황을 겪으면서 ‘한 배를 탔다’는 공동체 인식은 공고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Ⅷ)’ 보고서에는 이러한 내용의 ‘사회·경제적 위기와 사회통합 실태조사’ 결과가 담겼다. 조사는 지난해 6월 21일부터 9월17일까지 전국 19~75세 392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최근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 평균 점수는 5.90점(만점 10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인 2019년(6.15점)보다 0.25점 떨어진 수치다. 2014년 보사연이 설문을 실시한 이후 삶 만족도 점수가 6점을 밑돈 것은 2015년 이후 처음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30대(0.28점)와 40대~50대(0.25점)가 2년 전 대비 낙폭이 컸다. 경제활동 상태별로는 경제적 타격이 컸던 자영업자 종사자는 0.59점 하락한 5.66점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행복도는 유의미한 수준의 하락은 없었으나 우울감은 높아졌다. ‘어제 어느 정도 우울했는지’(만점 10점)에 대한 평균 점수는 직전 조사 대비 0.22점 상승한 2.93점이었다. 특히 40대~50대는 3.10점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우울감이 높고 상승 폭(0.39점)도 컸다.

개인적 삶 만족도와 달리 국가에 대한 자부심이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은 개선됐다. ‘한국 국민인 게 자랑스럽다’(만점 4점)는 문항의 평균 점수는 2019년보다 0.08점 오른 2.96점이었다.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정도 평가도 0.42점 상승한 4.59점(만점 10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촛불집회가 일어난 2017년(4.50점)을 웃도는 수준이다. 그러나 ‘사회적인 지지를 얼마나 받는지’에 대한 점수 오히려 2017년보다 0.27점 하락했다.

연구팀은 “재난 시기에는 ‘모두 한배를 탔다’라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사회응집력과 결속력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면서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사회적 신뢰가 높아졌으나 대인 신뢰로까지 이어지지 못했고 사회적 교류가 위축됐다”고 짚었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