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명품 뺨치네… 한중일 판화 한자리에

명품 뺨치네… 한중일 판화 한자리에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8-03 17:44
업데이트 2022-08-04 0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주서 ‘전통문양 판화 특별전’
책·벽지·이불보 100여점 선봬

이미지 확대
빙열매죽문(한국) 판목과 문양.
빙열매죽문(한국) 판목과 문양.
“창조는 모방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옛 판화 문양을 보고 루이비통 문양보다 더 뛰어난 문양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요.”

목판에 새긴 정교한 문양은 종이는 기본이고 책과 벽지, 이불보 등 생활 곳곳에 쓰였다. 민무늬로 두면 큰일이라도 나는 것처럼 옛사람들은 판화의 문양을 곳곳에 남겼고, 심심해질 수 있는 물건을 명품처럼 만들어 냈다.

강원 원주시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에서 한중수교 30주년을 기념해 오는 28일까지 진행하는 ‘한·중 전통 문양 판화의 세계 특별전’은 한국과 중국에 더해 일본의 판화까지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다. 압인된 책 표지 등을 포함해 100여점을 만나 볼 수 있다.
전시관 내부. 원주 류재민 기자
전시관 내부. 원주 류재민 기자
전시에 소개된 한국의 전통 문양 판화는 능화판(옛 책의 표지에 무늬를 장식하기 위해 만든 목판)을 위주로 한다. 책에 먹물을 발라 찍은 것도 있고, 먹물 없이 문양이 찍힌 책도 있어 오늘날 다양하고 화려해진 책 표지의 원조를 보여 준다. 다만 책에만 쓰인 것이 아니라 보자기, 벽지 등에도 쓰였고 해당 유물을 전시에서 볼 수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목판을 활용해 천에 염색을 들이거나 포장지, 서예용 종이 등을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화지(花紙)라는 문양 목판화를 사용했다. 한국의 목판이 세밀한 패턴을 가지고 개인적인 물건에 주로 사용됐다면, 중국의 목판은 용이나 나비 등 화려한 그림이 특징으로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됐다.

일본 작품 중에서는 당지(唐紙)라 하여 목판화 문양을 세계적인 디자인으로 키우는 가라카미 판목과 기모노 문양을 찍은 것이 눈길을 끈다. 흑백으로 찍어 냈던 한국과 달리 일본과 중국은 여러 색을 사용해 좀더 화려하게 문양을 찍어 낸 것을 알 수 있다.
보자기, 이불보 등에 찍힌 문양. 원주 류재민 기자
보자기, 이불보 등에 찍힌 문양. 원주 류재민 기자
한선학(66) 고판화박물관장은 “한중일은 비슷해 보이면서도 서로 다른 개성을 지녔다”면서 “판화를 찍어 내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됐지만 지금 전해 오는 문양 판목들은 현대인에게 새로운 영감을 주고 또 다른 창작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전 기간에는 한 관장이 진행하는 ‘지역 명사와 함께하는 숲속 판화여행’도 열려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원주 류재민 기자
2022-08-04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