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와, 현장] 백래시가 일상인 사회/이슬기 사회정책부 기자

[나와, 현장] 백래시가 일상인 사회/이슬기 사회정책부 기자

이슬기 기자
입력 2022-07-21 20:10
업데이트 2022-07-22 0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슬기 사회정책부 기자
이슬기 사회정책부 기자
며칠 전, 취재원 문자에 잠에서 깼다. 인터뷰로 기분 좋게 만난 이였다. 그는 새벽에 송고된 자신의 기사에 달린 댓글을 언급하며 댓글창을 막아 줄 것을 요청했다. 댓글에는 외모 품평과 여성에 대한 원초적인 비난 등이 담겨 있었다.

취재원이 기사 댓글창을 막아 달라고 요청한 것은 처음 겪는 일이었다. 사실, 처음에는 안일하게 생각했다. 나는 댓글 몇백 개 전부가 ‘기자가 페미X’ 같은 욕설로 뒤덮이거나, 이른바 ‘남초 커뮤니티’에 기자 페이지 좌표가 찍혀 공격당한 적도 있다.

그래서 나도 모르게 취재원 얘기에 ‘그 정도쯤이야’ 싶기도 했다. 그러다 다시 댓글을 읽고선, 내가 틀렸음을 알았다. 그는 내 기사가 아니었으면, 살아생전 그런 악플은 받아 볼 일이 없었을 것이다.

과거 인터뷰에서 페미니스트 창작자를 만난 적이 있다. 인터뷰 내내 그는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자주 언급했지만, 정작 기사에서는 ‘페미니즘’을 ‘여성주의’로 바꿔 달라는 요구를 했다. 곧 나올 자신의 출판물에 ‘페미니즘’ 딱지가 붙어 뭇 남성들에게 ‘좌표’가 찍힐 것을 두려워한 탓이었다. 페미니즘을 페미니즘이라 쓰지 못하다니, 뭔가 억울한 느낌이 들었지만 결과적으론 그의 말을 받아들였다. 사실 페미니즘은 여성주의와 같은 말이니까.

생각해 보면 기자에게는 악플이 일상이라 여느 사람보다 둔감하다. 댓글 자체를 보지 않는 기자들도 많고, 나 또한 한때는 그랬다. 그래서 나름 악플에는 내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내성은 나만의 것이어서, 내 기사를 늘상 보는 가족들의 반응은 또 달랐다. 취재원도 마찬가지다. 평범한 시민으로, 남들 입방아에 오를 일 없이 살아온 사람들이 어느 날 문득 기사에 올라 불특정 다수의 돌팔매를 맞는다. 페미니스트라는 이유로, 여성이라는 이유로.

엄밀히 따지면, 나조차 악플로부터 자유로운 것은 아니었다. 지난해, 기자들을 향한 혐오 공격을 연구하던 연구진에 인터뷰를 당한 적이 있다. 처음엔 “기사 댓글을 잘 안 봐서 그런 거 잘 모르겠다” 했는데, 이야기를 거듭할수록 공격을 받을까 몸을 사리던 모습들이 생각났다. “전에 ‘일간베스트’에 관한 기사를 쓰면서 데스크가 기사 바이라인(이름)을 팀 이름으로 하자는 제안을 한 적이 있어요. 여성 기자 이름으로 나가면, ‘신상 털기’를 당할까 봐서요.”

결국엔 내 이름으로 나갔고, 별일은 없었지만 한동안 긴장했다. ‘백래시’(backlash·반발)가 일상인 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취재원들에게 미안하지 않고 나를 지키는 기사를 쓸 수 있을까. ‘리얼돌’ 기사를 쓰며, 또 고민한다.
이슬기 사회정책부 기자
2022-07-22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