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응급실에서 사망한 질병 환자, 10명 중 3명만 증상완화 치료

응급실에서 사망한 질병 환자, 10명 중 3명만 증상완화 치료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2-07-18 11:56
업데이트 2022-07-18 1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신혜 서울대병원 교수, 김정선 세종충남대병원 교수
유신혜 서울대병원 교수, 김정선 세종충남대병원 교수
최근 3년 동안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중 10명 중 3명만 임종 24시간 동안 진통제 등 증상 조절을 위한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유신혜 서울대병원 교수·김정선 세종충남대병원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22명의 생애 말기 의료 현황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진은 많은 중증질환자들이 임종이 임박한 순간 응급실을 찾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는 데 착안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임종 전 24시간 동안 중증 치료를 받는 비율이 39.4%이었으나,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는 비율은 31.5%에 그쳤다. 중증 치료는 인공호흡기 치료(36.0%), 심폐소생술(27.5%), 혈액 투석(0.5%), 체외막산소요법(0.5%) 등이다. 중증 치료를 받은 환자의 92.3%는 혈액검사를, 62.6%는 승압제 투여를 받았다.

연구진은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환자들이 응급실에서 중증 치료보다 편안한 증상 조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 결정 제도가 시행됐으나, 2020년에도 27.6%는 본인이나 가족이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하지 않고 사망했다. 응급실에 내원하기 전에 사전 돌봄 계획을 논의한 경우는 21.2%에 불과하다.

만성 중증질환자는 일찍부터 적극적인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와 연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비암 환자는 27.5%만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데 비해 암 환자의 경우 72.5%가 작성했다. 암 환자는 응급실에 내원하기 전에 사전 돌봄 계획을 논의한 비율도 28.4%로 비암환자(8.6%)보다 높다.

유 교수는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환자가 응급실에서 임종 전 증상 조절을 받지 못하고 임종한다”면서 “응급실 임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검사 및 처지를 줄이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