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무대에 선 모래시계… “나 지금 뜨고 있니?”[공연 리뷰]

무대에 선 모래시계… “나 지금 뜨고 있니?”[공연 리뷰]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6-08 22:16
업데이트 2022-06-09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년 만에 뮤지컬 귀환

회전형 무대로 인물 고뇌 시각화
돌고도는 현재의 문제로 형상화
드라마선 약했던 여성 서사 강화
“모래알 같은 존재 그래도 살아야”

이미지 확대
뮤지컬 ‘모래시계’의 1막 마지막 ‘오늘 밤이 지나면’ 넘버 속 모습. 태수, 우석, 혜린, 시민들, 군인들이 광주에서 각기 다른 입장으로 대치하게 된 모습을 그렸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뮤지컬 ‘모래시계’의 1막 마지막 ‘오늘 밤이 지나면’ 넘버 속 모습. 태수, 우석, 혜린, 시민들, 군인들이 광주에서 각기 다른 입장으로 대치하게 된 모습을 그렸다.
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제공
“우린 작은 모래알 같겠지만, 우리가 모이고 또 모이면 언젠가 달라진 내일이 올 거야.”(‘우리의 계절’ 중)

1995년 방영 당시 최고 시청률 64.5%를 기록하며 ‘귀가시계’라고 불렸던 드라마 ‘모래시계’가 동명의 뮤지컬로 찾아왔다. 2017년 초연 뒤 5년 만의 두 번째 시즌이다. YH사건, 5·18 광주민주화운동, 삼청교육대, 보도지침 등 굴곡진 현대사를 그려낸 24부작 드라마를 160분에 담은 만큼 속도감 있게 전개된다. 여타 뮤지컬과 달리 객석에는 원작의 향수를 가지고 찾아온 중장년층들이 눈에 띈다. 거대한 시류에 휘말리는 인물들의 고뇌에 공감하며 훌쩍이는 관객도 쉬이 찾을 수 있다.

‘태수’는 소중한 사람을 지키기 위한 힘을 갖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 육군사관학교에 지원했지만, 아버지의 좌익 행적이 문제가 돼 시험조차 치르지 못하고 정치 깡패로 전락한 존재다. 태수의 친구인 ‘우석’은 강직한 검사로서 냉혹한 현실 속에 자신만의 신념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캐릭터지만, 군 복무 시 죄 없는 시민에게 총구를 겨눠야만 했던 트라우마를 가졌다. ‘혜린’은 부패한 아버지와 세상에 맞서 학생운동을 주도하지만, 폭력과 고문에 시달리는 동지들과 달리 번번이 아버지 덕에 경찰의 추적에서 벗어나게 되는 인물로 결국 현실을 받아들여 아버지의 카지노를 물려받는다.

작품은 1970~1980년대를 배경으로 시대에 맞섰던 세 인물을 그리고 있지만,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청춘들의 모습과도 닮아 있다. 잘못된 세상 속에서 부끄럽지 않기 위해 발버둥 치고 도망쳐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아픔을 그린다. 회전형 무대는 이런 아픔을 형상화하는 데 훌륭한 장치로 사용된다. 또 비단 과거의 모습이 아니라 돌고 돌아 다시 현재의 문제라는 점도 상기시킨다.

세 인물의 관계에 집중하고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기존 드라마에서 이정재가 맡았던, 혜린의 보디가드 ‘재희’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또 드라마가 수많은 패러디를 낳은 “나 떨고 있냐”, “이렇게 하면 널 가질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 등의 대사로 대변되는 강인한 남성 서사에 집중했다면 뮤지컬은 여성 서사에도 같은 무게감을 둔다. 드라마에서 이승연이 맡았던 기자 ‘영진’의 캐릭터가 부각되는 것. 프롤로그에 작은 타자기를 앞에 둔 혜린과 영진의 모습을 등장시키는 것도 같은 이유다. 실제로 극의 마지막에 모래시계를 넘겨받는 이도 영진이다.

작품은 시대 앞에서 모두 모래알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럼에도 살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극 중 혜린이 읽었던 시구절을 통해 드러난다. “세상의 풀리지 않는 문제는 인내로 대하라. 알지 못하는 언어로 쓰인 책처럼 치열한 사랑으로 대하라. 그리고, 살아내는 것. 끝까지 살아내는 것. 그러면 어느새 해답 안에서 살고 있을 테니.” 대성디큐브아트센터. 오는 8월 14일까지.
윤수경 기자
2022-06-09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