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소식


尹 대통령 취임 후 첫 CNN 인터뷰 “北 망하게 하고 싶은 생각 없다”

입력: ’22-05-23 19:20  /  수정: ’22-05-23 20:48
확대보기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방영된 미국 CNN 방송의 폴라 행콕스 서울 특파원과의 인터뷰에 임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CNN 홈페이지 재인용
“북한이 일으키는 도발이나 갈등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려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 아니다. 지난 5년간 이런 접근 방식은 실패한 것으로 증명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미국 CNN 방송의 폴라 행콕스 서울 특파원과 인터뷰를 갖고 ‘김(정은 북한 국무) 위원장이 비핵화 대화에 관심이 없어 보이는데 임기 5년간 어떻게 대응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우리와 대화를 시작하는 것은 김 위원장이 선택할 문제이며, 북한을 망하게 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CNN은 윤 대통령이 취임 2주가 지난 시점에 처음으로 언론 매체와 단독 인터뷰를 가졌음을 강조했다. 방송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공은 김 위원장의 코트 안에 있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제7차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되는 데 대해 “이번 정부의 대처는 이전 정부와 다를 것”이라면서 “북한의 어떤 위협과 도발 행위에 대해서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처해 북한 도발을 저지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한반도 정세가 긴장이 고조되던 2017년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는 “북한 눈치를 보며 지나치게 유화적인 정책은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내가 원하는 것은 한반도의 공동 번영이다. 북한이 핵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국제 평화 유지에 도움이 되거나 좋은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연합연습 및 훈련 확대를 위한 협의 개시에 합의한 데 대해 “정기적인 군사훈련은 준비태세를 갖추려고 하는 전 세계 모든 군대의 기본 의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공격을 받을 경우 미국이 ‘핵우산’을 포함해 방어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밝히면서 한반도에 전술핵을 재배치할 가능성은 배제했다고 CNN은 전했다.

 또 한미동맹 강화가 중국을 자극할 가능성에 대해서 윤 대통령이 “안보, 기술 분야에서 미국과 동맹을 강화한다고 해서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며 “중국이 이 문제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CNN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윤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공통의 기반을 찾아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해리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의 명구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The buck stops here)를 새긴 탁상용 패를 선물했는데 윤 대통령도 지난달 국내의 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했을 때 이 문구를 인용한 적이 있다. 윤 대통령은 책상 가운데 이 패를 놓으면서 행콕스 특파원에게 “내가 이 문구를 좋아하는지 바이든 대통령이 어떻게 알았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놓았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 TEL 02-2000-9040
COPYRIGHT ⓒ 2019 Seoul Peace Institut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