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원자재값 급등에 기업 실적도 ‘빨간불’..결국 제품값 인상 불가피

원자재값 급등에 기업 실적도 ‘빨간불’..결국 제품값 인상 불가피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2-04-14 16:02
업데이트 2022-04-14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조기업 304개사 98% “영업이익 감소”
3분의 1은 “팔수록 손해,영업적자 우려”
기업 10곳 중 8곳은 “제품 가격 인상”
건설 현장선 “공사비 올려달라” 보이콧

이미지 확대
멈춰 선 생산라인
멈춰 선 생산라인 지난해 12월 전북 익산의 한 유리공장에서 직원이 가동이 멈춘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있다. 이 라인은 판유리 두 개를 접합해 아파트 등 건물 외벽에 쓰이는 복층유리로 제작한다. 유리 제작에 필요한 실리콘, 판유리 등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재료를 구하지 못한 공장은 평소의 40% 수준으로만 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익산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원자재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지만 타 기업과의 가격 경쟁 등을 생각하면 그 부담을 제품 가격에 다 반영할 수도 없다. 그래서 올해는 수익성이 악화되며 팔아도 남는 게 없을까봐 걱정이 크다.”(가전업계 관계자)

“철강, 반도체, 배터리 소재 등이 다 가격이 오르고 있고, 주 연료인 에너지값까지 뛰고 있으니 자동차도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자동차업계 관계자)

원자재값 급등으로 제조기업들 사이에서 “팔면 팔수록 손해다”, “팔아도 남는 게 없다”는 아우성이 빗발치고 있다. 철강, 광물, 곡물, 원유, 석탄 등 전 산업 분야에서 원자재 조달 가격 부담이 커지며 올해 기업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1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제조기업 304개사에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98%의 기업이 원자재값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 기업의 66.8%는 최근 상황이 지속되면 올해 영업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고, 31.2%는 제품을 팔수록 손해가 커져 영업적자가 날 것으로 우려했다.
최근 원자재값 급등에 따른 기업 영향
최근 원자재값 급등에 따른 기업 영향 <자료: 대한상공회의소>
기업 4곳 중 3곳(75.6%)은 원자재 가격 급등에 ‘제품 생산 단가가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조금 증가했다’는 응답도 21.4%로 대부분(97%)의 기업이 제품 생산단가 상승의 영향권에 들었다. 하지만 매출이 줄어들까봐 거세진 원자재값 압박을 제품 판매가에 반영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몇년간 제품 가격을 동결해 왔지만 우크라이나 사태로 밀가루, 설탕 가격이 계속 오르는 데다 물류비 부담까지 커져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면서도 “소비자들 시선이 곱지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기업 10곳 중 8곳(78.9%)은 원자재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할 경우 “제품 가격을 인상하겠다”는 입장이라 결국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게 됐다.
원자재값 급등 지속시 기업 대응
원자재값 급등 지속시 기업 대응 <자료: 대한상공회의소>
건설 현장도 혼란에 빠졌다. 현장에서 직접 공사를 담당하는 전문건설업계는 원청인 종합건설사에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며 공사 중단도 불사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철근콘크리트 업계에 따르면 전국 5개 지역 철근콘크리트 사용자연합회는 다음주 초 현대건설이 시공 중인 전국 50여개 현장에서 골조 공사를 중단하기로 했다.

이들은 지난달에도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20~30% 올랐다며 공사 계약 단가 인상을 요구하며 전국 30여개 건설 현장에서 공사 중단을 통보했으나 협상이 진행되자 철회했다. 이후 협상에 진전이 없자 다시 ‘보이콧’을 결정한 것이다.

철콘 업계는 원자재값과 인건비가 급등해 기존 계약 금액으로 공사를 진행하면 손실이 극심하다고 주장한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3월 철근 1t당 가격은 1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49.3%, 레미콘 가격은 15% 올랐다. 자재 수급 불안으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외국 인력 수급까지 막히면서 인건비 상승 압박도 커졌다는 것이다.

수도권 철콘연합회 회원사 86개사가 계약단가 증액을 요구한 현장 348곳 가운데 185곳에서만 시공사가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고 나머지 163곳은 미온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회 관계자는 “현대건설 측 반응에 따라 보이콧 일정이 정해질 것”이라며 “나머지 시공사에 대해선 협상 결과를 보면서 대응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정서린·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