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소식


[STOP PUTIN] 들것에 옮겨지던 우크라 임산부, 끝내 뱃속 태아와 함께 절명

입력: ’22-03-14 21:26  /  수정: ’22-03-14 21:26
확대보기
▲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폴의 산부인과 병원에 입원해 있다가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러시아 군의 폭격에 무너진 건물 잔해에 깔려 있다가 구조돼 들것에 태워져 다른 병원으로 옮겨지는 임산부 모습. 안타깝게도 이 임산부는 제왕절개 수술로 태아를 사산했고, 얼마 뒤 본인도 세상을 등진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마리우풀의 산부인과 병원에서 출산을 준비하다 러시아 군의 포격에 무너진 잔해에 깔려 있다가 구조됐던 임산부가 끝내 아이와 함께 절명한 사실이 확인됐다.

미국의소리(VOA) 방송 기자 아샤 돌리나는 14일 현지인 사진기자의 말을 인용해 들것에 실려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던 임산부가 끝내 숨을 거뒀다고 전했다. AP 통신과 계약을 맺고 우크라이나에서 활동 중인 프리랜서 사진작가 예브게니 말로레트카가 이 임산부가 들것에 옮겨지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러시아군의 잔혹함을 고발했다.

이 임산부는 이미 골반이 으스러진 상태였다. 뱃속의 태아가 죽어가는 것을 알아차린 엄마는 “차라리 날 죽여달라”고 애원하며 절규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한다. 의료진은 서둘러 제왕절개로 태아를 세상 밖으로 끄집어냈지만 결국 사산하고 말았다. 뒤이어 산모도 숨을 거뒀다. 수술을 맡은 외과의 티무르 마린은 “제왕절개 수술을 했으나, 태아가 살아있다는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산모라도 살리려 했으나 30분의 심폐소생술에도 호흡이 돌아오지 않았다. 결국 산모와 태아 모두 죽었다”고 밝혔다.

의료진에 따르면 여성의 남편과 아버지가 시신을 수습하러 오기 전까지 병원 측은 여성의 신분을 알지 못했으며, 다행히 가족들이 시신을 수습해 집단 매장 당하는 일은 피했다.

이로써 산부인과 폭격 희생자는 4명으로 늘어났다. 마리우폴을 포위 중인 러시아 군은 지난 9일 임산부와 어린이가 있는 산부인과 병원에 폭격을 가했다. 어린이 한 명 등 셋이 세상을 뜨고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만삭의 임산부들은 연기로 자욱한 병원에서 필사적으로 탈출했다. 다행히 마리아나 비셰기르스카야가 건강한 딸 베로니카를 출산하는 등 임산부 몇몇은 다른 병원에서 무사히 출산했지만, 들것으로 옮겨진 임산부는 끝내 세상을 등졌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현재까지 31건의 의료시설 공습을 감행해 24곳이 파괴됐다. WHO와 유엔인구기금(UNFPA), 유니세프는 13일 보건·의료 시설에 대한 공격 중단을 러시아에 요구했다. WHO는 “의료시설에 대한 무자비한 공격으로 환자와 의료인이 죽거나 심각한 상처를 입고 있다”고 러시아를 규탄했다. 이어 “영아와 어린이, 임산부, 환자, 목숨 내놓고 일하는 의료진 등에 대한 공격은 터무니없이 잔혹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의 의료 시스템은 심각한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의료체계의 붕괴는 재앙이 될 것”이라며 “이런 일들이 생기지 않도록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리우폴은 최근 러시아의 무차별 폭격으로 밤낮 없이 포탄이 비오듯 쏟아져 인명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민간인 희생자가 2500명을 넘겼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에 따라 희생자들의 시신을 제대로 수습하지 못하거나 폭격이 두려워 시신을 집단 매장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마리우폴의 산부인과 병원이 극단주의자들에게 점령돼 이미 임산부 등이 입원해 있지 않았다고 뻔뻔한 거짓 주장을 늘어놓았다. 하지만 러시아군 폭격 이후 병원에서 대피하는 임산부 사진 등이 잇따라 공개된 데 이어 들것에 실려가던 임산부의 죽음도 확인돼 러시아의 주장이 얼토당토 않음이 입증됐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 TEL 02-2000-9040
COPYRIGHT ⓒ 2019 Seoul Peace Institute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