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완벽의 위험/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완벽의 위험/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입력 2022-03-07 20:30
업데이트 2022-03-08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2016년 촛불집회와 탄핵을 다룬 다큐멘터리 ‘나의 촛불’을 보았다. 등장하는 인물 앞에 ‘고’가 붙은 사람이 보였다. 노회찬, 정두언, 박원순. 짧은 몇 년 동안 세 명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이 기이하게 느껴졌다. 최근 한 게임업체의 창업자가 50대 중반에 사망했는데 스스로 생을 마무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들 “왜? 뭐가 부족해서?”라고 한다. 성공한 기업인이며 동료들의 존경을 받아 온 사람이었다.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아 왔다고는 하지만 그것만으로 설명하기엔 많이 부족하다. 자살의 위험 요인은 그 외에 사회경제적 어려움, 스트레스, 신체질환, 외로움 등을 꼽는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부러워할 정도의 성취를 해 왔고, 힘든 스트레스도 극복해 낸 과거가 있었다. 한마디로 의지력, 자존감이 평균적 사람보다 훨씬 강한 이들이었다. 그런데 왜? 무척 답답하고 궁금하다.

여기에 평소 완벽주의적 성향이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 실마리를 준다. 완벽주의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매우 높은 기준을 갖고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한다. 나뿐 아니라 상대의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효율성을 중시하며, 모든 일의 목표치가 높다. 보통 이런 성향은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장점이다. 이상적 목표를 위해 쉬지 않고 열심히 살고, 위기에 흔들리지 않으며 언제나 최선을 다하니 말이다. 덕분에 일반적 완벽주의자는 성공한다. 그런데 이것이 자칫 한 방에 멘털을 무너뜨릴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의 마틴 스미스 등은 그동안 수행된 45개의 연구에 포함된 1만 1000여명의 자료를 메타분석했다. 그 결과 완벽주의가 자살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완벽주의자들은 자신에게 가혹해서 충분히 잘한 일도 결코 만족하지 못하고 끝없이 더 잘해야 한다고 재촉한다. 무엇을 하건 100점을 추구하고 95점도 실패로 여기는 흑백논리가 있다 보니 내적 불안이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일에만 국한되지 않고 가정, 대인관계 한 군데라도 모자람이 없어야만 한다. 나이가 들수록, 위치가 올라갈수록 작은 실패의 가능성은 커지는데 작은 실패는 완벽이 훼손된 것으로 여긴다. 이제부터 그런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고 부끄러움과 수치심이 합리적 사고나 희망을 마비시켜 버린다. 결국 유일하게 내가 나를 통제하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는 길은 스스로 삶을 중지시켜 버리는 것뿐이다. 그만큼 완벽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박은 엄청난 스트레스였던 것이다.

이건 마치 아름답게 빛나지만 툭 건드려 부딪치면 쫙 깨지는 크리스털 공을 보는 것 같다. 세상은 이왕이면 완벽이 더 좋고,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그런 마인드셋은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마음의 건강은 완벽의 추구가 아닌 완벽할 필요가 없음을 이해하고, 그것도 정상이고 어딘가 흠이 있는 이런 나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에서 온다고 나는 믿는다. 적당히 흔들리고, 조금 모자란 나를 보면서 이 정도도 괜찮지 않냐고 여기는 마음 말이다.

2022-03-0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